서울시교육청, 초등교사 정원 확보 나선다… "교육부장관과 대화"
김나현 기자
2,612
공유하기
![]() |
초등교사. /자료사진=임한별 기자 |
시교육청 관계자는 7일 "이번 초등교사 임용 대란 문제에 따른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교육부와 금주 중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의 만남을 추진해 해결책을 모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시교육청이 지난 3일 발표한 '2018학년도 공립 유·초·특수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임용시험) 사전예고'에 따르면 올해 초등학교 교사 채용 규모는 105명이다. 지난해 선발 인원인 813명 대비 708명 감소한 것.
임용 시험이 오는 11월11일로 100일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교육 당국이 갑작스레 임용 규모를 축소하자, 서울교대·이화여대 초등교육과 학생들이 집단 행동에 나서는 등 혼란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시교육청은 현재 해법으로 두 가지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우선 교사 정원을 지난해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문제 해결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교육부가 올해 시교육청에 감축을 요구한 인원은 292명이다. 이를 최소화할 경우 선발 인원 확보에 숨통이 트인다는 것이다.
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 초등교사 유보정원 요청도 고려할 방침이다. 초등교사 유보정원은 초등학교 개교 등 수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하는 정원이다. 올해 교육부의 초등교사 유보정원은 총 100명인데 이 중 일부를 요구하겠다는 것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지난해 대비 올해 교사 정원 감축분인 292명을 '0'으로 만드는 것이 최대 목표이지만, 이것이 녹록지 않을 경우 정원 감축을 최소화하고 유보정원을 요청해 어떻게든 100명가량은 확보할 생각"이라고 전달했다.
하지만 시교육청 해법에 따라 최대로 확보할 수 있는 정원이 서울교대·이화여대 초등교육과 학생들의 요구 인원과 상당한 격차가 있어 갈등이 예상된다. 학생들은 지난 4일 조 교육감과의 면담에서 550명 선발을 요구한 바 있다.
시교육청이 확보할 수 있는 최대치는 사전 예고한 105명과 올해 정원 감축분인 292명을 합한 397명이다. 학생들은 550명 선발 인원 확보가 안 될 경우 행정소송 등 적극적인 집단 행동도 고려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교대생들의 입장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800명 넘는 임용 대기자의 배정 문제도 걸려 있기 때문에 (교대생들의 요구를) 다 받아들이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현실적으로 가능한 수준에서 최대한 이 문제를 해결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교대생들의 입장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800명 넘는 임용 대기자의 배정 문제도 걸려 있기 때문에 (교대생들의 요구를) 다 받아들이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현실적으로 가능한 수준에서 최대한 이 문제를 해결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