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유아이' 기술, 스마트폰 터치 안 해도 통역된다
김나현 기자
4,054
공유하기
![]() |
제로유아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진이 스마트폰을 터치하지 않고 웨어러블 헤드셋을 착용하고 양방향 자동 통역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22일 새로운 통역 기술인 '제로유아이'(Zero UI)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제로유아이는 스마트폰을 터치하지 않아도 사람 간 대화를 나누듯 자연스러운 통역이 가능하다. 이 기술은 지난달 28일 프랑스 파리 표준협회에서 열린 국제표준화회의(ISO)에서 국제표준으로 최종 승인됐다.
제로유아이는 사용자와 상대방 헤드셋이 블루투스로 연결된 상태에서 통역 결과를 주고받는 식으로 작동한다. 즉 사용자가 헤드셋 등을 착용한 이후 말을 하게 되면 음성이 스마트폰으로 전달돼 통역되며, 통역된 음성은 상대방의 스마트폰으로 전달돼 헤드셋으로 전송돼 통역 결과를 들려준다.
이 기술에는 통역할 상대방을 미리 알아보고 해당 국가의 언어를 자동 선택해 접근해서 말을 하는 즉시 통역되는 기술도 포함됐다. 이 같은 기능이 구현되려면 사용자나 상대방 스마트폰에 제로유아이 소프트웨어가 탑재돼 있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ETRI 연구진은 "예를 들어 네이버의 '파파고' 등 기존 통·번역 관련 소프트웨어에 제로유아이를 결합시키면 이용자는 훨씬 더 간편하게 통역 서비스를 누리게 될 것"이라며 "더 이상 스마트폰을 바라보거나 조작할 필요 없이 상대방과 시선을 교환하며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김상훈 ETRI 프로젝트 리더는 "이번 표준화 기술로 채택된 제로유아이를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시범 적용해 국내 토종 기술의 우수성과, 자동 통역 기술의 글로벌 대중화가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제로유아이는 사용자와 상대방 헤드셋이 블루투스로 연결된 상태에서 통역 결과를 주고받는 식으로 작동한다. 즉 사용자가 헤드셋 등을 착용한 이후 말을 하게 되면 음성이 스마트폰으로 전달돼 통역되며, 통역된 음성은 상대방의 스마트폰으로 전달돼 헤드셋으로 전송돼 통역 결과를 들려준다.
이 기술에는 통역할 상대방을 미리 알아보고 해당 국가의 언어를 자동 선택해 접근해서 말을 하는 즉시 통역되는 기술도 포함됐다. 이 같은 기능이 구현되려면 사용자나 상대방 스마트폰에 제로유아이 소프트웨어가 탑재돼 있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ETRI 연구진은 "예를 들어 네이버의 '파파고' 등 기존 통·번역 관련 소프트웨어에 제로유아이를 결합시키면 이용자는 훨씬 더 간편하게 통역 서비스를 누리게 될 것"이라며 "더 이상 스마트폰을 바라보거나 조작할 필요 없이 상대방과 시선을 교환하며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김상훈 ETRI 프로젝트 리더는 "이번 표준화 기술로 채택된 제로유아이를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시범 적용해 국내 토종 기술의 우수성과, 자동 통역 기술의 글로벌 대중화가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한편 ETRI는 이 기술 외 블루투스 기반 통역 대상 탐색 기술 등 핵심 기술 7건을 국제표준특허로 출원한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