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동안전기술 탑재차량 보험료 낮춘다” 현대‧기아차-보험개발원 업무협약
최윤신 기자
3,604
공유하기
![]() |
현대자동차 고객안전전략사업부 김헌수 부사장(사진 가운데 우측)과 보험개발원 권흥구 부원장(사진 가운데 좌측)이 업무 협약서에 사인한 뒤 악수를 나누고 있는 모습. |
현대∙기아차와 보험개발원이 지난 24일 현대차 양재 본사에서 업무협약식을 갖고 능동안전기술 탑재 차량에 대한 적정 보험료 책정과 교통 사고를 줄이는 자동차보험상품 개발 지원에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최근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개발 경쟁으로 능동안전기술들이 속속 신차에 탑재돼 출시되고 있지만 금전적 부담으로 빠른 대중화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현대∙기아차와 보험개발원의 이번 협업으로 능동안전기술 탑재 차량에 대한 보험료 할인 효과가 현실화될 경우, 운전자들의 비용 부담을 덜어줘 안전기술의 보급 확대를 유도하게 된다.
현대∙기아차와 보험개발원은 우선 능동안전기술 탑재에 따른 보험료 할인을 추진하는데 상호 협력한다. 현재 블랙박스 적용 차량에 할인을 제공하는 것처럼 능동안전기술 장착으로 인한 사고 절감효과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보험사 손해율 절감분을 자동차보험료 할인을 통해 고객에게 제공하는 개념이다.
이를 위해 현대∙기아차는 전방충돌방지보조(FCA), 차로이탈경고(LDW) 등 각종 능동안전기술의 장착 정보와 차종 별 평가 데이터를 보험개발원에 공유한다.
보험개발원은 공유 받은 정보 외 각종 보험계약과 사고 데이터 등을 바탕으로 능동안전기술 별 적정 보험료 할인 효과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각 손해보험사에 제공할 계획이다.
양사는 올 연말까지 손해율 분석 등 보험료 할인을 위한 환경 조성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손해보험사들은 이를 바탕으로 자체적인 상품 기획을 거쳐, 이르면 내년 초 능동안전기술 탑재 차량에 대한 보험료 할인상품을 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기아차는 교통사고 피해 최소화를 위해 안전기술들의 성능 개선에도 보험개발원과 협력한다. 보험사의 실제 교통사고 정보를 연계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국내 고객 및 도로 특성에 최적화된 안전기술 개발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해외의 경우 보험 관련 기관과 자동차 제조사가 협업하는 사례가 많지만 국내에서 보험업계의 실 교통사고 정보를 안전기술 성능 개선에 활용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금번 업무 협약에 따른 혜택은 당사뿐 아니라 능동안전기술을 탑재한 국내 전체 자동차 소유주들에게 돌아가게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 현대∙기아차가 보험개발원과 선도적으로 협업하게 됐다”고 말했다.
현대∙기아차는 각종 첨단 운전자 보조 신기술을 양산차에 확대 적용하고 있다. 내년 출시되는 신차부터 전방충돌방지보조를 기본 탑재를 시작해 2020년 말까지 기본화를 완료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