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시대 '수세식 화장실 터' 발견… 경주 안압지서 발굴
장영락 기자
6,897
공유하기
![]() |
경주 안압지서 7~8세기 수세식 화장실 터가 발견됐다. /사진=문화재청 제공 |
옛 이름 안압지로 잘 알려져 있는 사적 제18호 경주 동궁과 월지에서 7세기 신라시대 왕궁의 수세식 화장실 터가 확인됐다. 이번에 찾은 수세식 화장실 터는 사람이 쪼그려 앉을 수 있고, 물을 흘려 오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고급 수세식 화장실 구조를 갖춘 것으로 확인됐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경주 동궁과 월지의 북동쪽 인접지역에 대한 발굴조사 성과를 26일 현장에서 일반에 공개했다.
연구소에 따르면, 경주 동궁과 월지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직후 문무왕 14년(674년)에 세워진 동궁과 주요 관청이 있었던 곳으로, 1975년 문화재관리국(문화재청 전신) 경주고적발굴조사단에 의해 처음 조사됐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2007년 동궁과 월지 북동쪽 인접지역에 대해 발굴조사를 벌여 지금까지 대형건물지군, 담장, 배수로, 우물 등 동궁 관련 시설을 꾸준히 확인해왔다.
이번에 공개된 유구 중에는 '수세식 화장실' 유구도 포함됐다. 이 유구는 화장실 건물 내에 변기시설, 오물 배수시설까지 함께 발굴된 신라 왕궁 화장실 유구인 것으로 확인됐다.
화장실 유구는 초석건물지 내에 변기가 있고, 변기를 통해 나온 오물이 잘 배출될 수 있도록 점차 기울어지게 설계된 암거(暗渠) 시설까지 갖춘 복합 변기형 석조물이 있는 구조다.
연구소는 "변기형 석조 구조물은 양다리를 딛고 쪼그려 앉을 수 앉는 판석형 석조물과 그 밑으로 오물이 밖으로 나갈 수 있게 타원형 구멍이 뚫린 또 다른 석조물이 조합된 형태이며, 구조상 변기형 석조물을 통해 내려간 오물이 하부의 암거(暗渠·지하에 고랑을 파서 물을 빼는 시설)로 배출됐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사용 방식은 변기에 물을 흘려 오물을 제거하는 수세식으로 추정되며, 물을 유입하는 설비가 따로 갖추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아 준비된 항아리 등에서 물을 떠서 변기하부로 오물을 씻어 내보내는 방식이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이같은 특징을 볼 때 통일신라 최상위 계층의 화장실 모습을 잘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했다. 고급석재인 화강암을 가공해 만든 변기시설이 있고, 오물 제거에 수세식 방식이 사용된 점, 변기 하부와 오물 배수시설 바닥에 타일 기능의 전돌(쪼개어 만든 벽돌)을 깔아 마감한 점 등이 그 근거다.
연구소는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변기시설만 발견(불국사, 8세기)되거나 화장실 유구(익산 왕궁리, 7세기 중엽)만 확인되었을 뿐, 화장실 건물과 변기시설 그리고 오물 배수시설이 이렇게 같이 발굴된 사례는 없었다. 이번 동궁과 월지에서 확인된 화장실 유구는 화장실이라는 공간과 그 부속품들이 한자리에서 발견된 최초의 사례로, 현재까지 조사된 통일신라 시대까지의 고대 화장실 중 가장 고급형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