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0조 규모 주주환원정책 예고… 효과는?
허주열 기자
3,429
공유하기
삼성전자가 조만간 역대 최대 규모의 주주환원정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자사주 매입·소각, 주주배당 확대 등으로 요약되는 주주환원정책은 오너일가의 지배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지만 투자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 우려하는 시선도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오는 31일 이사회를 열고 자사주 소각, 현금배당 확대 등을 통한 주주환원계획이 담긴 3개년(2018~2020년) 주주가치제고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하면서 2020년까지 진행할 주주이익환원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또 지난해 말에는 회사 잉여금의 50%를 주주환원에 활용하겠다고 했다.
삼성전자의 올 3분기 영업이익은 사상 최대 규모인 14조5000억원으로 추정된다. 3분기까지의 누적 영업이익은 38조4600억원이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현금배당과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 규모가 역대급이 될 것으로 관측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약 4조원을 현금배당하고 7조24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해 주주환원액이 당기순이익(22조4160억원)의 49.7%에 달했다.
올해도 같은 비율을 유지할 경우 현금배당과 자사주 매입·소각에 투입되는 액수는 20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상반기 삼성전자의 연결재무제표 기준 순이익은 18조7382억원이며 증권사가 예상하는 올해 당기순이익 전망치 평균은 41조2000억원이다.
삼성전자는 올 상반기에 두 차례의 분기 배당(총 1조9377억원)을 실시했고 4조8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했다.
삼성전자가 예고한 주주환원율 50%를 맞추기 위해선 하반기에만 13조원 이상을 배당하거나 자사주 매입에 투입해야 한다.
앞서 삼성전자는 올해 9조3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사들여 소각한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하반기 7~8조원 규모의 현금배당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될 경우 모든 주주에게 혜택이 돌아가지만 특히 최대주주인 총수일가의 지배력이 확대된다. 자사주 소각은 유통주식 물량을 줄여 주식의 가치를 높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현재 삼성 총수일가는 계열사 지분 포함 17.54%의 삼성전자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의결권이 있는 보통주 기준으로는 이건희 회장 3.84%, 이재용 부회장 0.65%, 삼성생명 8.19%, 삼성물산 4.61%, 삼성화재 1.43% 등 20%다.
다만 일각에선 주주환원 확대가 설비투자 증설에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또 사업에 대한 투자 대신 주주에게 돈을 푸는 방식으로 사내 유보금 논란을 회피하려 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오는 31일 이사회를 열고 자사주 소각, 현금배당 확대 등을 통한 주주환원계획이 담긴 3개년(2018~2020년) 주주가치제고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하면서 2020년까지 진행할 주주이익환원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또 지난해 말에는 회사 잉여금의 50%를 주주환원에 활용하겠다고 했다.
![]() |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사옥. /사진=뉴스1 |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현금배당과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 규모가 역대급이 될 것으로 관측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약 4조원을 현금배당하고 7조24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해 주주환원액이 당기순이익(22조4160억원)의 49.7%에 달했다.
올해도 같은 비율을 유지할 경우 현금배당과 자사주 매입·소각에 투입되는 액수는 20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상반기 삼성전자의 연결재무제표 기준 순이익은 18조7382억원이며 증권사가 예상하는 올해 당기순이익 전망치 평균은 41조2000억원이다.
삼성전자는 올 상반기에 두 차례의 분기 배당(총 1조9377억원)을 실시했고 4조8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했다.
삼성전자가 예고한 주주환원율 50%를 맞추기 위해선 하반기에만 13조원 이상을 배당하거나 자사주 매입에 투입해야 한다.
앞서 삼성전자는 올해 9조3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사들여 소각한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하반기 7~8조원 규모의 현금배당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될 경우 모든 주주에게 혜택이 돌아가지만 특히 최대주주인 총수일가의 지배력이 확대된다. 자사주 소각은 유통주식 물량을 줄여 주식의 가치를 높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현재 삼성 총수일가는 계열사 지분 포함 17.54%의 삼성전자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의결권이 있는 보통주 기준으로는 이건희 회장 3.84%, 이재용 부회장 0.65%, 삼성생명 8.19%, 삼성물산 4.61%, 삼성화재 1.43% 등 20%다.
다만 일각에선 주주환원 확대가 설비투자 증설에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또 사업에 대한 투자 대신 주주에게 돈을 푸는 방식으로 사내 유보금 논란을 회피하려 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