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기록물. /자료사진=뉴시스
위안부 기록물. /자료사진=뉴시스

우리나라와 중국 등 8개국 14개 단체가 공동 신청한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의 유네스코(UNESCO·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일본의 압력에 결국 보류됐다.

외신 등은 31일(현지시간 30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The International Advisory Committee)가 프랑스 파리에서 기록유산 등재 신청 심사를 진행한 결과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의 등재를 보류하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유네스코는 이날 홈페이지에 게재한 세계기록유산 심사 결과 성명에서 특히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의 등재 보류 결정에 대해 "관련국들은 대화하라"고 언급했다.

성명은 "(유네스코) 회원국들은 (이리나 보코바) 사무총장, IAC 그리고 세계기록유산의 모든 관계자들에게 대화와 상호 이해의 원칙을 준수하며 정치적 긴장 고조를 피하도록 촉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IAC가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의 등재 신청국들과 관련국들 간 대화를 도모하도록 보코바 사무총장에게 권고했다고 전달했다.


성명은 IAC가 사무총장에게 가능한 모든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이 공동 등재로 이어지도록 (한국과 일본 등) 관련국들이 대화할 수있도록 편리한 시간과 장소를 마련할 것을 권고했다고 부연했다.

유네스코 집행위원회는 지난 18일 세계기록유산과 관련해 이견이 있을 경우 당사국 간 대화를 촉구하고 의견이 모아질 때까지 최대 4년간 심사를 보류하는 결의를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이 제도는 2019년부터 적용되는데 유네스코 기록유산 등재 신청은 2년에 한번씩 이뤄진다.

따라서 지난해 5월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을 한 일본군 위안부 자료가 올해 등재되지 못할 경우에는 새 제도를 적용받게 되는 데다 일본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혀 사실상 등재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돼왔다.

유네스코는 이 제도를 사실상 앞당겨 이번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심사에 적용한 셈이 됐다. 유네스코가 이번 성명에서 밝힌 것처럼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관계자들을 대화 자리에 불러 모은다 할지라도 이견이 좁혀질 가능성은 현재로서 거의 없다.


일본 정부는 그간 유네스코 분담금 지급을 거부하며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의 심사 대상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 일본은 유네스코에 미국에 이어 2번째로 많은 분담금을 지급하는 국가로, 유네스코가 자국에게 불리한 결정을 할 때마다 분담금 지급을 연기하며 유네스코에 압력을 가하는 수단으로 활용해왔다.

한편 우리나라가 신청한 '조선왕실의 어보와 어책',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그리고 우리나라와 일본 민간단체가 공동 신청한 '조선통신사' 기록물은 세계기록유산에 최종 등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