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 제2금융권의 중금리대출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금융당국이 제2금융사가 취급하는 중금리대출을 가계대출 총량규제 대상에서 제외하면서다.


그동안 신용카드사·캐피털사·저축은행·상호금융 등 제2금융사가 자체 취급하는 중금리대출은 대출 총량규제 대상이었다. 대출 총량규제는 해당 금융사가 당해 총 대출을 전년대비 일정 비율 이상 늘리지 못하도록 한 규제다. 지난해 저축은행의 이 비율은 5.4%, 카드·캐피털사는 7.0%, 상호금융은 5.8%였다.


문제는 서민금융 활성화의 단초를 제공한 중금리 대출도 총량규제에 묶어둔 것이다. 때문에 기존 은행권의 저금리와 대부업의 고금리 사이의 간극을 메운 정책상품 성격이 짙은 중금리시장 활성화를 오히려 정부가 막고 있다는 비판이 잇따랐다.


이에 금융당국은 오는 4분기부터 가계대출 총량규제에서 제외키로 했다.


금융당국이 정한 중금리대출은 4등급 미만 대출자에게 70% 이상 공급되고 금리는 연 20% 미만, 가중평균금리는 16.5% 이하인 신용대출 상품이다.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오는 4분기부터 중금리대출이 총량규제 대상에서 제외됨에 따라 중금리시장 내 경쟁이 본격적으로 치열해질 전망이다. 지난 2월 최고금리 인하(연 27.9%→24.0%)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된 가운데 이 시장을 새 먹거리로 삼겠다는 제2금융권의 이해관계와도 맞아 떨어진다.

가장 반기는 건 저축은행업계다. 대출사업이 주된 수익원인 저축은행업계에서 중금리상품의 총량규제 제외는 숙원사업이었다. 저축은행들은 당장 오는 4분기부터 자체 중금리대출 공급을 늘린다는 방침이다. 다만 자체 중금리상품을 취급하는 일부 대형사가 중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저축은행들이 중금리대출 공급을 늘리기 위해 예·적금 등 수신 경쟁력을 보다 높일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예·적금 금리를 높여 수신고객을 끌어당겨 대출자금을 마련할 것이란 얘기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하반기에 금리가 높은 수신 상품이 많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카드업계도 중금리상품 취급이 늘어날 전망이다. 카드업계는 카드론(장기대출서비스)과 대출금리가 맞물린 데다 대출 총량규제에 묶인 탓에 중금리상품을 적극적으로 취급하지 않았다. 하지만 가맹점수수료율 추가 인하가 점쳐지는 가운데 중금리상품을 새 먹거리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각사가 중금리상품 개발에 보다 적극적으로 뛰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한편 금융당국은 제2금융권의 지난해대비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7%로 제한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