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금바리 어획량이 최근 5년 새 10배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뉴스1 DB
다금바리 어획량이 최근 5년 새 10배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뉴스1 DB
제주 최고 횟감으로 꼽히는 동시에 멸종 위기 향토자원인 다금바리(자바리) 어획량이 최근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제주해양수산연구원에 따르면 2005년 인공수정을 통한 다금바리 종자 생산기술을 보유한 이후 연구를 거듭하다 2014년부터 다금바리 주 서식지인 서귀포 대정읍 모슬포 해역에 방류사업을 진행했다.


2014년 5만마리를 시작으로 매년 3만~5만마리를 방류했고 지난해에는 다금바리 3만마리와 또 다른 희귀어종인 붉바리 1만마리도 바다로 내보냈다. 다금바리 종자는 방류가 가능한 크기인 5cm 이상으로 자랄 때까지 90일 이상 육상수조에서 사육한 후 바다로 보낸다.

이 같은 노력에 모슬포 해역 다금바리 어획량은 2014년 1.4톤에서 2016년 6.9톤, 2017년에는 13.1톤, 2018년 13톤으로 4~5년 전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했다.


연구원은 꾸준한 방류 효과로 어획량이 늘어난 것으로 추정했다. 이에 올해부터는 자체 생산한 종자와 어획한 다금바리 간 유전자 감식을 통해 같은 어종인지를 확인하는 작업도 진행할 예정이다.

어획량이 늘면서 ㎏당 8만~10만원 이상이던 위판가도 절반으로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지만 여전히 횟집에서 팔리는 다금바리 가격은 고공행진 중이다.


횟집에서 파는 다금바리 가격은 ㎏당 20만원선. 유명세에 비해 제주도민 조차 맛본 사람이 많지 않은 이유는 비싼 가격 때문이다.

특히 다금바리는 잘 잡히지 않는데다 육상양식이 어려워 가격이 높게 형성됐다.


여기에 더딘 성장 속도도 비싼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다금바리가 출하 수준인 1kg으로 성장하려면 3년 이상 걸린다. 또 다금바리는 큰 치어가 작은 치어를 잡아먹는 ‘공식’(共食) 습성이 있어 폐사율도 높다.

해양수산연구원 관계자는 “종자 방류 이후 어획량이 늘고 위판가격이 감소 추세지만 횟집에서는 여전히 20만원 이상의 높은 가격을 유지 중”이라면서도 “다금바리 주산지인 제주에서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먹을 수 있다는 인식이 생겨야 하지만 그렇지 않다”고 아쉬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