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년생 김지영. /사진제공=롯데엔터테인먼트
82년생 김지영. /사진제공=롯데엔터테인먼트

2016년 출간 이후 누적 판매 100만 부를 돌파한 조남주 작가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정유미와 공유가 호흡을 맞춰 기대를 모으는 영화 <82년생 김지영>.

<82년생 김지영>은 1982년 태어나 2019년 오늘을 살아가는 ‘김지영’(정유미 분)의 아무도 몰랐던 이야기를 그린 작품. 소설 속 ‘김지영’과 주변 인물들에 드라마와 스토리를 더해 새롭게 완성된 <82년생 김지영>은 모두가 안다고 생각했지만 아무도 몰랐던 이야기로 관객들의 마음 깊숙이 다가갈 것이다.

솔직하고 현실적인 연애담 <연애의 발견>, 사회인의 희로애락을 유쾌하게 그린 <직장의 신>, 대한민국 청춘의 삶을 생생하게 담은 <라이브> 등을 통해 현실과 맞닿아 있는 생명력의 캐릭터를 연기해온 정유미는 <82년생 김지영>에서 오늘을 살아가는 평범한 30대 김지영으로 분했다.

<밀정> 이후 3년 만에 스크린에 복귀한 공유는 ‘지영’을 걱정하며 지켜보는 남편 ‘대현’으로 분했다. 가끔 다른 사람이 된 듯한 아내의 변화에 마음 아파하는 모습을 디테일하게 담아내 영화에 대한 기대를 더한다.

여기에 김미경, 공민정, 김성철, 이얼 등 '지영'의 가족으로 분한 실력파 배우들은 나의 가족을 보는 듯한 자연스러운 연기로 극을 한층 다채롭게 채울 예정이다.

<도가니>, <부산행>에 이어 세번째로 만난 정유미와 공유는 <82년생 김지영>을 통해 처음으로 부부로서 호흡을 맞췄다. 정유미는 제작보고회에서 "그 전 작품에서는 오빠(공유)와 직접적으로 대면하면서 연기할 기회가 없었다. 조금 편해진 사이가 되고 이번 역할을 맡게 됐다. 좋은 이야기를 함께 연기할 수 있다는 게 감사하다"고 말했다.

공유는 "동문서답일 수도 있는데 같이 나이 들고 어른이 돼 가는 느낌이었다. 그래서 좋았다. (정유미가) 외모적으로나 성격적으로나 어쩜 이렇게 변함이 없는지 모르겠다"고 미소 지었다.

한편 <82년생 김지영>은 조남주 작 동명 소설을 영화화한 것으로 이땅의 평범한 여성 ‘김지영’을 통해 성차별이 만연한 사회 현실을 그려냈다. ‘봄바람 영화사’의 창립 작품으로 김도영(49)이 감독을 맡았다. 영화사 대표와 감독 모두 여성이고 ‘여성의 시각으로 그려내는 여성의 이야기’를 스크린에 담아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10월 23일 개봉

◆시놉시스

1982년 봄에 태어나 누군가의 딸이자 아내, 동료이자 엄마로 2019년 오늘을 살아가는 ‘지영’(정유미 분). 언젠가부터 다른 사람이 된 것처럼 말하는 ‘지영’. ‘대현’(공유 분)은 아내가 상처 입을까 두려워 그 사실을 털어놓지 못하고 ‘지영’은 “괜찮다”라며 웃어 보이기만 하는데…


☞ 본 기사는 <머니S> 제615호(2019년 10월22~28일)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