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투데이
/사진=이미지투데이
한국 지폐 중에서 5만원권의 유통수명이 가장 긴 반면 5000원권은 가장 빨리 훼손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은행권 유통수명 추정결과'를 보면 은행권 가운데 유통수명이 가장 짧은 권종은 5000원권으로 4년1개월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1000원권의 유통수명이 4년5개월, 1만원권과 5만원권은 각각 10년7개월과 13년6개월로 집계됐다.


은행권 유통수명은 신권 발행 시점부터 손상으로 이용이 어려워져 환수될 때까지 경과된 기간을 의미한다. 한은은 유통 은행권을 표본 추출해 유통기간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각 화폐의 수명을 추정했다.

5만원권의 수명이 가장 길게 나타난 건 다른 화폐와는 대체적인 '쓰임'이 다르기 때문으로 추정됐다. 지난해 한은 발권국이 조사한 '경제주체별 현금사용행태 조사결과'에 따르면 개인들은 5만원권을 주로 예비용 현금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보유금액에서 5만원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79.4%로 집계됐다. 손을 덜 타다 보니 수명도 길어진 셈이다.


반대로 수명이 가장 짧은 지폐는 5000원권으로 49개월(4년1개월) 살다가 가는 것으로 조사됐다. 1000원권도 53개월(4년5개월)로 수명이 비슷해다. 주로 소액 결제에 현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액면이 낮은 은행권일수록 수명이 짧은 것으로 분석됐다.

1만원권의 유통수명은 127개월(10년7개월)로 상대적으로 길었다. 5만원권과 마찬가지로 거래 용도보다는 가치저장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어서다.


화폐 유통수명은 길어지는 추세를 보였다. 현금 이용 자체가 줄어들고 있는 영향이다. 1000원권은 지난해보다 수명이 1개월 늘었고, 5000원권 6개월, 1만원권 6개월 등 모두 수명이 증가했다. 5만원권 수명은 지난해 추정되지 않아 비교가 어려웠다.

주요국과 비교했을 때 1000원권의 유통 수명은 유럽존 5유로(18개월), 영국 5파운드(23개월), 일본 1000엔(18개월) 등 주요국보다 길게 나타났다. 최고 액면의 수명은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영국 50파운드의 경우 유통수명이 492개월에 달했고, 미국 100달러(180개월), 호주 100달러(330개월), 유로존 500유로(235개월) 등으로 우리나라 5만원권의 수명은 짧은 편에 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