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를 국빈 방문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4일(현지시각) 오스트리안 비엔나 총리실에서 세바스티안 쿠르츠 총리와 확대회담을 마치고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페이스북
오스트리아를 국빈 방문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4일(현지시각) 오스트리안 비엔나 총리실에서 세바스티안 쿠르츠 총리와 확대회담을 마치고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페이스북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에 대한 백신 지원과 관련해 "북한이 동의한다면 백신공급에 협력할 것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오스트리아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4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비엔나 호프부르크 왕궁에서 열린 판 데어 벨렌 오스트리아 대통령과의 한·오스트리아 정상회담 뒤 공동기자회견에서 코벡스(백신 공동구매 국제프로젝트)를 통한 북한의 백신 지원 계획에 대한 질문에 "한국이 글로벌 생산 허브의 역할을 할 경우에 북한도 당연히 협력 대상이 된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미국도 북한에 대한 인도주의적 협력에 대해서는 적극 지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현재 한국은 백신 접종의 속도를 높이고 있지만 백신 접종이 고소득 국가들이 앞서간다고 해서 그것만으로 코로나에서 해방될 수는 없다"며 "개도국을 비롯한 저소득국, 모든 나라들이 공평하게 백신에 접근할 수 있어야 비로소 전세계가 백신에서 해방될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판 데어 벨렌 오스트리아 대통령은 대북 백신 지원 의지에 관해 "문 대통령의 의견에 동의한다"며 "팬데믹의 경우 모든 국가들이 함께 노력을 해야만 극복 가능하다"고 답했다. 이어 "유럽, 개발도상국, 가난한 국가들 모두 백신을 지원 받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북한도 마찬가지"라며 "하지만 북한 측에서 이와 관련된 어떤 입장을 취했는지 혹은 관련 상황에 대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알 수 없지만 어떤 신호가 있다면 당연히 도움을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