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이 많아 어려워"… 큐어백 백신 예방효과 47%, 긴급승인 '불투명'
한아름 기자
1,571
공유하기
![]() |
독일 제약사 큐어백이 개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이 임상3상 중간결과에서 47%의 예방효과를 보이는데 그쳤다고 16일 발표했다. 독일 의료진이 환자에게 큐어백 코로나 백신을 접종하는 모습. /사진=로이터 |
프란츠 베르너 하스 큐어백 최고경영자(CEO)는 "더 유망한 중간 결과를 기대했지만 변이가 다양해짐에 따라 높은 예방효과를 입증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하지만 최종 분석을 계속 진행 중으로, 전반적인 백신 효능이 달라질 수 있다"고 밝혔다.
큐어백 백신은 화이자, 모더나에 이은 전 세계 세 번째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백신으로 기대를 모았던 터라 실망감이 커지고 있다. 유럽연합(EU)의 경우에는 4억회분 이상 선주문까지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을 비롯해 위탁생산을 추진 중이던 나라들에서도 백신접종 및 확보문제에 영향을 끼칠 것이란 우려다.
로이터·뉴욕타임스 등은 큐어백 백신이 최종 분석에서도 이와 같은 예방효과를 보이면 세계보건기구(WHO)나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긴급사용승인을 받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WHO와 FDA는 코로나 백신의 긴급사용승인 기준은 최소 예방효과 50% 이상이기 때문이다.
큐어백은 승인 신청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임상 최종 결과에서 뚜렷하게 달라진 결과가 나올지는 미지수다.
한편, 제약·바이오업계에서는 노바백스 백신이 다른 백신보다 장점이 많다고 평가한다. 큐어백 백신이 주목받는 이유는 아스트라제네카·얀센 등 다른 백신보다 안전성·효과가 상대적으로 좋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큐어백은 같은 mRNA 백신 화이자·모더나보다 보관이 편리하단 장점이 있다. 큐어백에 따르면 이 백신은 영상 5도에서 최소 3개월 동안 보관 가능하다. 실온에서는 최대 24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화이자·모더나 백신은 영하 20도 이하의 콜드체인(저온유통)에 보관하는 것을 고려하면 보관·수송 면에서 더 유리하다는 평가다.
또한 큐어백 백신은 제조 시 들어가는 원료가 적어 화이자·모더나 보다 대량생산 가능한 것도 장점이다. 큐어백 백신 한 도즈당 활성물질 투약량은 12㎍(마이크로그램·100만분의 1g)으로, 같은 방식의 코로나 백신 중 가장 적다. 화이자, 모더나 백신의 경우 적정 투약량이 각각 30㎍, 100㎍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