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노조의 파업이 43일째 지속되고 있지만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서울의 CJ대한통운 물류센터에서 분류 작업자들이 택배를 옮기고 있다./사진=뉴스1
택배노조의 파업이 43일째 지속되고 있지만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서울의 CJ대한통운 물류센터에서 분류 작업자들이 택배를 옮기고 있다./사진=뉴스1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 CJ대한통운본부의 무기한 총파업이 장기화하면서 가라앉을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

8일 택배노조의 파업이 43일째를 맞았다. 택배노조와 CJ대한통운, 그리고 비노조 택배기사들 및 대리점주들의 갈등의 골은 깊어지고 있다.  


비노조 택배기사들과 대리점주들은 서비스 차질을 막기 위해 접수제한이 걸리지 않은 지역에 대체배송을 실시하려 해도 노조원들이 방해하고 있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택배노조의 명분 없는 파업으로 전체 택배기사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는 것.

택배업계에 따르면 비노조 택배연합회는 오는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택배노조의 총파업 철회를 요구하는 2차 집회를 열 예정이다.


김슬기 비노조 택배연합회 대표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택배노조가 생긴 후에 ‘과로사다, 노동력 착취다’라며 노동시간에 제한이 생겼다”며 “한정된 시간 안에 수백개의 택배를 배달하려면 끼니도 걸러가며 배달을 할 수밖에 없다. 택배노조 때문에 기사들 처우가 도리어 악화됐다”고 지적했다.

대화 및 협의 단절로 노사 및 노노(勞勞) 갈등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8일 노동당, 녹색당, 정의당, 진보당 등 4개 진보정당은 택배노조의 파업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CJ대한통운의 과로사를 통한 돈벌이 중단, 부속합의서 철회, 저상탑차 문제 해결, 노조 인정 등 택배노조의 요구가 정당하다는 것이다.


택배노조 측은 “CJ대한통운은 이번 인상분이 140원이고 인상분의 절반이 택배기사 수수료에 반영돼 있다며 파업의 명분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이 주장이 사실이라면 대국민 사과와 파업철회 조합원 찬반투표를 실시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요금인상 관련 검증을 제안하고 있음에도 이를 거부하고 어떠한 대화와 교섭도 하지 않고 있다”며 사측을 성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