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계가 지난 1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도 지원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사진은 웨이브 오리지널 드라마 '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 이미지. /사진제공=웨이브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계가 지난 1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도 지원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사진은 웨이브 오리지널 드라마 '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 이미지. /사진제공=웨이브
윤석열 정부가 오는 5월 출범하는 가운데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계가 제도 지원을 요구하고 나섰다. 넷플릭스와 디즈니플러스 등 글로벌 OTT 기업들의 공세가 날로 거세지고 있지만 정부의 지원책은 여전히 답보상태기 때문이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오징어게임'같은 대작이 국내 OTT 업계에서도 가능하려면 낡은 규제 철폐와 지원책이 급선무라는 지적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웨이브·왓챠·티빙·쿠팡플레이·카카오TV 등 국내 5개 OTT 업체들은 이달 초 진행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과학기술교육분과 간담회에서 요구사항을 전달했다. 구체적으로 ▲자율등급제 도입 ▲콘텐츠 제작 세제 인센티브 제공 등 업계의 시급한 사항이 언급됐다.


자율등급제 도입은 이미 문재인 정부부터 군불이 지펴진 OTT 업계의 숙원 사업이다. 현재는 OTT 플랫폼에서 제작한 콘텐츠 등급을 영상물등급위원회와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정한다. 때문에 콘텐츠 제작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한 OTT업계 관계자는 "등급을 받느라 계획한 시점에 콘텐츠 공급이 이뤄지기 어렵고 내용 면에서도 자율성이 제한된다"면서 "이는 제작 환경에서 가장 애를 먹는 사항"이라고 전했다. 업계에선 자율등급제를 통해 신속한 콘텐츠 유통 시스템을 확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심의가 필요한 콘텐츠는 계속 늘어나지만 이를 감당할 인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영상 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제도 역시 필요한 부분이다. 글로벌 OTT 플랫폼은 토종 OTT를 압도하는 제작비와 플랫폼 이용자를 보유 중이다. 그 어느 때보다 경쟁이 치열해진 국내 OTT 시장에서 관건은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인 만큼 관련 제도 지원이 절실하다. 한 업계 종사자는 "콘텐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제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내서 지출된 OTT 콘텐츠 제작 비용에 대해 대기업은 3%, 중견기업 7%, 중소기업 10%에 상당하는 금액을 법인세에서 공제 받을 수 있다. 하지만 해외에 비해 공제율이 낮은 수준이라 올해 세액공제 일몰 기간을 연장하면서 공제율도 인상해달라는 요구가 나온다. 미국 할리우드가 위치한 캘리포니아 주는 인건비 등 고정 제작비용의 20%를 세액공제해준다. 프랑스는 콘텐츠 투자자엔 투자금액의 30%, 제작사엔 제작비용의 20%를 세액공제한다. 이때 감면세액이 실제 세액보다 많으면 차액을 현금으로 돌려준다.

국내 OTT 산업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급성장했으며 OTT를 통해 전파되는 콘텐츠도 세계적으로 흥행 중이다. 산업 발전의 적기를 맞은 만큼 새 정부가 이번 기회를 놓치지 않아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도 후보 시절 OTT 생태계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콘텐츠 사업자의 해외 현지 제작 지원을 공약했다. 이 같은 기대감과 맞물려 진흥 정책에 방점을 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