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혁신처 산하 공무원보수위원회(보수위)가 내년도 공무원 임금 관련 논의를 다음주 본격화한다. 사진은 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 회원 등이 지난달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공무원보수위원회 위상 강화 촉구 기자회견하는 모습. /사진=뉴스1
인사혁신처 산하 공무원보수위원회(보수위)가 내년도 공무원 임금 관련 논의를 다음주 본격화한다. 사진은 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 회원 등이 지난달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공무원보수위원회 위상 강화 촉구 기자회견하는 모습. /사진=뉴스1


인사혁신처 산하 공무원보수위원회(보수위)가 내년도 공무원 임금 관련 논의에 착수한다.

5일 인사혁신처와 전국공무원노동조합 등에 따르면 보수위는 오는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소위원회를 개최한다. 이를 통해 내년 공무원 임금 관련 논의를 시작할 예정이다.


공무원보수위원회 규정에 따르면 보수위는 정부위원 5명, 노조측 추천위원 5명, 민간위원 5명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내년 공무원 임금 관련 논의는 7월 말쯤 마무리 될 것으로 예상된다. 완료된 논의 내용은 기획재정부에 권고안 형태로 제시된다.

그러나 노정임금교섭기구가 아닌 자문기구라는 한계때문에 보수위에서의 합의 내용이 실제로 이행되지 않는 경우도 적지 않다. 공무원노조는 2년 동안 실질소득감소분을 포함해 내년도 임금을 7.4% 올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와 관련해 일각에서는 정부의 '과도한 임금 인상 자제', '공공부문 개혁' 기조에 따라 임금 동결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공무원노조 관계자는 "아직 정부안이 제시된 것이 없다"며 "물가가 올랐기 때문에 여기에 대한 임금을 올려달라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공무원노조는 1인 시위나 집회 등을 통해 임금 인상 주장을 이어나가겠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