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이 금융시장에 본격 뛰어들 채비를 하면서 쿠팡 나중결제 서비스의 '현금깡' 악용 논란이 재부상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 쿠팡 본사모습./사진=뉴스1
쿠팡이 금융시장에 본격 뛰어들 채비를 하면서 쿠팡 나중결제 서비스의 '현금깡' 악용 논란이 재부상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 쿠팡 본사모습./사진=뉴스1


쿠팡이 여신전문금융업 등록 절차를 완료하고 금융시장에 본격 뛰어드는 가운데 쿠팡 후불결제(나중결제) 서비스의 '현금깡' 악용 논란이 재부상하고 있다.


쿠팡의 후불결제 최대 한도가 네이버페이·토스 등 경쟁사보다 최대 170만원이나 많아 금융업 진출에 대한 시선은 곱지만은 않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쿠팡은 지난 5일 금융감독원 여신금융감독국으로부터 여신전문금융업 등록 승인을 받았다.

쿠팡의 결제서비스 자회사인 쿠팡페이가 자본금 400억원을 들여 자회사 '쿠팡파이낸셜'을 설립한 데 이어 쿠팡파이낸셜이 여전업 등록 절차 완료하면서 쿠팡은 금융업에 발을 내딛게 됐다.


쿠팡의 손자회사인 쿠팡파이낸셜이 여전업 라이센스를 취득한 만큼 쿠팡은 할부금융 상품을 먼저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이를 두고 업계의 시선은 다소 회의적이다. 쿠팡은 금융업에 진출하기 전 지난 2020년 8월 후불결제 서비스인 '나중결제'를 선보인 바 있다.


나중결제는 쿠팡이 직접 매입한 상품에 한해 회사의 유료 회원이 일단 물건을 사고 결제는 나중에 나눠서 할 수 있는 서비스다.

우수 회원이면 나중결제 최대 한도는 200만원으로 높아지고 이마저 최장 11개월까지 할부가 가능해 신용카드 기능과 비슷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문제는 쿠팡의 나중결제 한도가 200만원임에 따라 네이버페이와 토스의 후불결제 최대한도인 30만원과 비교해 크게 차이가 나면서 '현금깡' 거래가 횡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네이버·토스 등이 시행 중인 후불결제 서비스인 BNPL(Buy Now Pay Later)은 '선결제-후지불' 서비스로 금융위원회의 혁신금융서비스를 통해 도입됐다. 다만 BNPL의 월 최대 한도는 30만원으로 제한돼 있다.

쿠팡의 나중결제 서비스도 BNPL 방식으로 평가받지만 BNPL 관련 규제는 받지 않는다. 이 때문에 최대 한도 규제에서 제외돼 자체적으로 200만원 한도를 적용하고 있지만 언제든 한도 조정이 가능하다.

쿠팡의 나중결제는 쿠팡이 직매입한 상품을 구입할 때만 가능하다. 즉 고객에게 실제 돈을 받는 시기만 늦춘 외상 개념과 유사한 데다 최대 200만원의 한도를 제공해 현금깡의 악용 수단으로 이용돼왔다.

지금도 당근마켓, 중고나라 등 중고거래 플랫폼에선 쿠팡 나중결제를 악용한 불법 현금화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예를 들어 200만원짜리 물건을 사려는 구매자 A씨를 상대로 B씨가 10% 할인된 금액인 180만원만 현금으로 받고 자신의 아이디로 A씨의 주소로 상품을 주문해주는 것이다.

결제대금을 내야 하는 시점에 B씨는 20만원 손해를 보지만 현금을 당겨 쓸 수 있는 이른바 '현금깡'을 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이에 쿠팡 나중결제의 연체율이 높아 부실 차주를 양산했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왔지만 쿠팡 측은 현재 나중결제의 연체율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현금깡 논란이 있었던 회사가 금융업에 진출한다는 것은 논란의 소지에서 자유로울 순 없어 보인다"며 "이미 자리를 잡은 네이버와 카카오, 토스 등 핀테크 업체들 간의 경쟁에서도 쿠팡이 우위를 점할수 있을지도 미지수"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