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가는 박진… 尹대통령 방미·북핵 문제 등 논의할 듯
블링컨 방중 앞두고 중국 관계 현안 다뤄질 가능성도
뉴스1 제공
1,272
공유하기
![]() |
박진 외교부 장관(왼쪽)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뉴스1 ⓒ News1 김명섭 기자 |
(서울=뉴스1) 노민호 이창규 기자 = 박진 외교부 장관이 내달 3일 미국 워싱턴DC에서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 올해 첫 대면 회담에 임한다. 이번 회담에선 올해 70주년을 맞은 한미동맹 발전방안과 더불어 윤석열 대통령의 방미, 한미 간 북핵 대응 공조, 그리곤 중국 관계 현안 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정부는 윤 대통령의 올 상반기 중 미국 방문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박 장관과 블링컨 장관 간의 이번 한미외교장관회담에선 관련 일정 및 의제 조율 등이 이뤄질 가능성이 커 보인다. 일각에선 윤 대통령이 올 4월 미국을 방문할 수 있단 전망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아울러 한미 양측은 올해 한미동맹 및 한국전쟁(6·25전쟁) 정전협정 70주년을 맞아 이를 기념하고 양국 간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 발전을 위해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도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한미 간 협력 분야가 기술·경제안보 등으로 확대될수록 미국과 패권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과의 '충돌' 가능성이 커진단 점이 우리 정부 입장에선 부담이 될 수 있다. 게다가 이번 한미외교장관회담은 블링컨 장관의 내달 5~6일 중국 방문을 앞두고 열린다.
이 때문에 우리 정부는 한미 협력을 공고히 하면서도 중국발(發) '리스크 관리'를 위한 균형점을 찾을 필요가 있다는 게 관련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동규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블링컨 장관이 대만해협을 둘러싼 미중 간 갈등과 한국 및 주한미군 역할에 대해 얘기할 가능성이 있다"며 "우리나라는 중국을 자극하지 않고자 대만해협 문제에 대해선 사실상 거리를 둬왔는데 미국 측의 관련 언급이 있을 경우 어떻게 대응할지 고민일 것"이라고 말했다.
![]() |
지난 1일 오전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관련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 /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
강준영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교수는 "우리나라가 미국과의 밀착을 부각하며 중국을 압박하는 인상을 준다면 앞으로 한중관계가 복잡해질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과 도발 위협에 따른 한미 양국의 공조 대응 문제도 한미외교장관회담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의제 가운데 하나다.
북한은 작년 한 해 동안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8발(개발시험 및 실패 사례 포함)을 비롯해 총 30여차례에 걸쳐 최소 70발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전례 없이 높은 빈도의 무력도발을 벌였다.
반면 북한은 올 들어선 이달 1일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에 해당하는 '초대형 방사포(KN-25) 1발을 발사한 이래로 군사적 행동을 자제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한미 당국은 북한이 언제든 제7차 핵실험이나 ICBM 발사와 같은 등 고강도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관련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선 박 장관이 블링컨 장관에게 '중국 방문 때 북핵 문제 등의 해결을 위한 중국의 건설적 역할을 당부해 달라'고 요청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강 교수는 "대북정책과 관련해 중국의 협력을 어떻게 끌어낼 것인지도 이번 한미외교장관회담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함께 조 바이든 미 행정부가 중시하는 '한미일 3국 협력'과 한미 간 인도·태평양 전략 연계 그리고 한미 간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인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관련 사항 등 또한 이번 한미외교장관회담에서 다뤄질 수 있는 의제들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뉴스1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