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시세] "60대가 노인인가요?"… 지하철 무임승차가 불편한 그들
[Z세대 시선으로 바라본 세상]
염윤경 기자
41,627
공유하기
편집자주
세상을 바라보고 해석하는 시각이 남다른 Z세대(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 세대). 그들이 바라보는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요. 머니S는 Z세대 기자들이 직접 발로 뛰며 그들의 시각으로 취재한 기사로 꾸미는 코너 'Z세대 시선으로 바라본 세상'(Z시세)을 마련했습니다.
|
"당장 우리 부모님이 65세가 돼도 노인이라고 생각 안 할 것 같아요."
"평균 수명이 늘어난 만큼 노인 기준도 높아져야죠."
7일 낮 12시 서울 1호선 종각역 개찰구에는 많은 사람이 바쁘게 오가고 있었다. 눈에 띄는 점은 출퇴근 시간에 비해 노년층의 비중이 높다는 것이었다.
노년층의 아지트라고 불리는 종각역 근처 탑골 공원에는 날씨가 풀려서인지 어르신들이 삼삼오오 모여있었다. 이들에게 다가가 탑골공원까지 어떻게 오셨냐고 묻자 대부분이 "지하철을 타고 왔다"고 답했다.
현행 노인복지법상 만 65세 이상은 지하철을 무료로 탑승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을 만 65세에서 70세로 올리는 방안이 검토되면서 뜨거운 감자가 됐다. 특히 혜택을 받지 못하게 될 만 65~69세 노년층은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못한다.
최근 이슈로 떠오른 노인 지하철 무임승차를 Z세대는 어떻게 바라볼까. 머니S가 지하철을 자주 이용하는 20대 청년들을 만났다.
Z세대, 무임승차 연령 조정 찬성… "요즘 60대가 노인인가요"
|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상향에 대해 20대 청년들은 대부분 찬성한다는 입장이다. 강북구에 사는 김모씨(여·23)는 "사회적 인식과 달리 요즘 60대는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경제력도 더 좋다"며 "지하철 운행 시 적자가 많이 발생한다고 들었는데 무임승차 연령을 조정해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동작구에 사는 이모씨(여·26)는 서울 지하철 중 노년층 이용률이 가장 높은 1호선을 타고 통학한다. 그는 "등교할 때마다 지하철에 노인이 너무 많아 스트레스였다"며 "무임승차를 금지해야 아침부터 의미 없이 1호선을 타고 여행하시는 어르신이 줄어들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면 무임승차 대신 나이에 따른 할인제를 도입하자는 의견도 나왔다. 남양주에 사는 이모씨(여·22)는 "지금보다 고령화가 더 심해지면 적자도 더 커질 것"이라며 "(노년층이) 교통비의 30%만이라도 내면 좋겠다"고 말했다. 강북구에 사는 홍모씨(남·26)도 "전면 무임승차보다는 할인 승차가 현실적으로 더 괜찮지 않을까"라고 대안을 제시했다.
이들은 무임승차 연령을 만 70세로 상향 조정하는 것에 대해서도 "70세쯤 돼야 노인"이라며 찬성했다. 강북구에 사는 김모씨(여·23)는 "요즘에는 정정하신 어르신이 너무 많다"며 "70세 정도는 돼야 노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악구에 사는 김모씨(남·25)도 "요즘 65세 어르신 중에는 20대인 나보다 더 건강한 분도 계실 것"이라고 설명했다. 동작구에 사는 이모씨(여·26)는 "연금 지급 시기도 늦춰지는데 노인 복지 혜택을 받아야 하는 나이도 더 높아져야 하지 않냐"라며 "70세로 연령을 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Z세대 "청년들에게도 복지가 필요해요"
|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조절과 더불어 노인 복지 혜택만 우선시하지 말고 청년에도 관심을 가져달라는 의견도 많았다. 노인 정책은 현재의 복지에서 더 나아가는 반면 청년 정책은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Z세대들은 청년 복지에 대해 사회적 논의가 더 활발해지면 좋겠다고 입을 모았다.
강북구에 사는 고모씨(여·24)는 "노인 부양률도 점점 높아지는데 이 상황에서 노인복지정책을 늘리면 청년층이 더 힘들어질 것"이라며 "청년 일자리 창출 등 청년 복지를 더 늘려달라"고 주문했다. 남양주에 사는 이모씨(여·22)는 "청년 복지에 신경 쓰지 않으면 취업률뿐 아니라 저출생 문제도 더 심각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강북구에 사는 김모씨(여·23)도 "노년층의 경우 대부분 정년 임기까지 채워 의식주 해결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며 "반면 청년층은 사회초년생이거나 취업준비생이 대부분이어서 생계가 어려울 정도로 어려움을 겪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취업과 주거뿐 아니라 식비·교통비 등 다양한 청년복지 정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염윤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