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항공사가 항공기 내 반입금지 물품 소지 감소를 위해 호신용품 제조·판매업체 대표들을 초청해 간담회를 열었다. 사진은 김포공항 국내선 보안검색대. /사진=한국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가 항공기 내 반입금지 물품 소지 감소를 위해 호신용품 제조·판매업체 대표들을 초청해 간담회를 열었다. 사진은 김포공항 국내선 보안검색대. /사진=한국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가 진시큐리티, 세이버코리아 등 호신용품 제조·판매업체 대표들을 초청해 항공기 내 반입금지 물품 소지 감소를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 최근 잇따라 기내에서 휴대가 금지된 물품 소지 적발된 사례가 늘어서다.


17일 공사에 따르면 최근 단체여행, 해외여행 수요가 늘면서 올 들어 7월까지 김포공항을 포함한 전국 14개 공항에서 전년대비 14.8% 증가한 53만4837건의 기내반입금지물품이 적발됐다.

최근 전국 곳곳에서 묻지마 범죄 발생으로 개인 호신용품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는 가운데 기내반입금지물품 중 위해물품에 해당하는 호신용품 소지가 동반 증가하는 추세다.


이 가운데 전기충격기와 너클 소지가 대폭 증가하고 있으며 너클의 경우 지난 5월 이후 적발건수가 폭증했다.

공사는 업체 대표들에게 전기충격기, 너클 등이 항공기 내 반입금지 물품임을 설명하고 공항 이용객의 안전을 위해 판매물품의 기내 반입금지 관련 안내를 강화해 줄 것을 요청했다.


앞으로 기존 제품에서 변형된 신제품이 출시되면 보안검색요원의 교육용으로 제공, 항공보안 수준 향상을 위해 힘써 줄 것도 당부했다.

공사는 전기충격기, 너클 등 호신용품이 기내 휴대수하물로 적발되면 관계기관 합동 조사로 보안수속 및 항공기 지연이 발생되는 만큼 여행객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사는 교육부, 국방부에 수학여행객, 군인 등이 기내반입금지물품을 소지하지 않도록 지속해서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공항 내 전광판을 활용해 기내 반입기준을 표출하는 등 현장 안내에도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윤형중 공사 사장은 "최근 일어난 묻지마 범죄 여파로 개인 호신용품 수요가 급증하면서 기내 반입도 폭발적으로 늘었다"며 "기내 반입기준 관련 홍보 및 업계와의 협력 강화 등 안전대책을 적극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행객들은 공항 이용 전 항공보안365 카카오톡 챗봇 '물어보안'을 통해 소지 물품이 비행기에 반입할 수 있는 물품인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