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정부의 내년도 예산처리 시한 종료일인 30일(현지 시각) 상하원이 45일간 임시 예산안을 처리에 합의했다. 사진은 워싱턴 국회의사당의 모습. /사진=이미지투데이
미국 연방정부의 내년도 예산처리 시한 종료일인 30일(현지 시각) 상하원이 45일간 임시 예산안을 처리에 합의했다. 사진은 워싱턴 국회의사당의 모습. /사진=이미지투데이


미국 연방정부의 내년도 예산처리 시한 종료일인 30일(현지 시각) 상하원이 45일간 임시 예산안을 처리에 합의했다. 대규모 경제 피해가 우려된 '셧다운(연방 정부 공무원들의 급여 지급 및 일부 업무 중단)' 사태는 45일의 '유예'기간을 확보하게 됐다.


임시예산안은 조 바이든 대통령의 서명을 거쳐 오는 11월17일까지 정부에 예산을 지원한다. 임시예산안 처리로 연방정부 셧다운 위기는 일단 45일 뒤로 미뤄졌지만, 해당 기간 내에 2024회계연도 예산안이 처리되지 않을 경우 셧다운 위기가 현실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미 상원은 이날 오후 8시께부터 본회의를 열고 하원에서 넘어온 임시예산안에 대한 표결을 진행했다. 임시예산안에 대한 표결은 호명투표로 진행됐으며, 예산안은 오후 9시께 찬성 88표, 반대 9표로 통과됐다.


앞서 미 하원은 셧다운 시점 9시간여를 앞둔 이날 오후 2시50분쯤 다수당인 공화당 소속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이 제안한 임시예산안을 본회의에 상정해 찬성 335표, 반대 91표로 통과시켰다. 임시예산안은 바이든 대통령의 서명을 거쳐 효력을 발휘한다.

임시예산안은 향후 45일간 정부 지출을 현 수준으로 유지하되 공화당내 반대가 많은 우크라이나 지원 예산을 제외하고, 조 바이든 대통령이 요구한 재난지원 예산(160억 달러)이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