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MZ 조폭' 잡는다… '전국 조직범죄 전담검사 워크숍' 개최
윤지영 기자
1,073
공유하기
|
조직범죄를 전담하는 검사들이 모여 일명 'MZ조폭'과 '작업사기' 등에 대한 수사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1일 뉴스1에 따르면 대검찰청은 이날 국가디지털포렌식센터(NDFC) 청사에서 '전국 조직범죄 전담검사 워크숍'을 열었다. 이 워크숍에는 박영빈 대검 마약조직범죄부장을 비롯해 일선 검찰청 조직범죄 전담검사 등 60여명이 참석했다.
조직범죄는 조직폭력 단체와 같은 1세대형에서 부동산 시장에 진출한 2세대형, 주가조작·기업합병 등 금융시장에 진출하는 3세대형으로 변화해 왔다. 여기에 지난 2010년대 이후 생겨난 4세대형은 특정 지역이나 계파보다는 돈에 따라 이합집산하는 집단이라는 특징이 있다.
폭력 범죄보다 온라인 도박장 개장·보이스피싱·리딩방 사기·대포통장 유통 등 경제범죄를 주로 저지르는 속칭 'MZ 조폭'을 4세대형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검찰의 '수노아파' 수사 과정에서 또래 조폭간 계파를 초월한 회합 등 기존과 다른 양상의 활동이 포착됐다. 이에 검찰은 "새로운 조직범죄 개념을 정립하고 기존 대응 방안의 변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을 내렸다.
이에 워크숍 참석자들은 보이스피싱 범죄 수사기법을 비롯해 온라인도박이나 전세사기 등 새로운 유형의 조직범죄 수사사례를 논의했다. 또 범죄수익의 완전한 박탈 방안 등을 논의했다. 특히 조직범죄 처벌 강화와 피해자 보호, 범죄수익 박탈이 함께 이뤄질 수 있는 '원스톱' 수사 방식으로 강력 대응하기로 했다.
이날 워크숍에서는 조직범죄의 동향과 수사 사례, 대응 방안 등이 공유됐다. 역대 최장기형인 징역 35년이 선고된 보이스피싱 범죄단체 사건과 인천 미추홀구 '건축왕' 전세사기 범죄단체 사건, '박사방' 사건 등이 주요 사례로 소개됐다.
이원석 검찰총장은 "조직적·계획적으로 서민 재산을 강탈하는 '작업사기'는 반드시 획기적인 중형에 처할 수 있도록 하고 범죄수익을 철저히 박탈해 '범죄는 돈이 되지 않는다'는 인식이 뿌리내리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박영빈 부장은 "MZ조폭에 조폭 유튜버까지 나타나 청소년들에게 막연한 동경심을 불러 일으키는 등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면서 "조직범죄에 엄정 대응하고 범죄수익을 철저히 박탈하는 게 전담 검사의 사명"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