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CU에서 페트 소주가 전체 소주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0.2%를 기록했다. 사진은 소주 제품이 편의점 매대에 진열된 모습. /사진=BGF리테일
지난해 CU에서 페트 소주가 전체 소주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0.2%를 기록했다. 사진은 소주 제품이 편의점 매대에 진열된 모습. /사진=BGF리테일


지난해 편의점 CU에서 페트 소주가 전체 소주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병 소주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BGF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CU가 최근 5개년 소주 매출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페트 소주가 전체 소주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0.2%를 기록했다. 이는 병 소주(49.8%) 보다 더 높은 수치다.


페트 소주와 병 소주의 연도별 매출 비중 추이를 보면 페트 소주는 2019년 30.4%, 2020년 31.3%였다. 이후 2021년 44.2%, 2022년 47.0%로 큰 폭으로 상승했고 2023년 50%를 넘어섰다.

반면 병 소주는 2019년 69.6%, 2020년 68.7%로 압도적인 매출 비중을 차지했으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세계적 대유행) 이후 지속적으로 매출 비중이 줄어들면서 2021년 처음 60%대 점유율이 무너졌고 지난해엔 40% 후반대까지 내려 앉았다.


실질적인 매출 신장률도 페트 소주는 2019년 대비 2023년 158.0% 급증했으나 병 소주의 경우 같은 기간 27.1%에 오르는 데 그쳤다. 전체 소주 매출을 페트 소주가 견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집에서 간단하게 혼술, 홈술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면서 무겁고 깨질 위험이 있는 병 소주보다 페트 소주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소주 도수가 낮아지며 음용량이 늘어난 것도 페트병 판매가 증가한 이유로 꼽힌다. 최근 소주는 기존 20~25도에서 평균 16~17도로 낮아지면서 용량이 큰 소주를 찾는 수요가 증가했다.

일반적으로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병 소주는 360㎖지만 페트 소주는 이보다 많은 400㎖, 500㎖, 640㎖, 750㎖까지 매우 다양하다. CU의 페트 소주 중 매출이 가장 높은 제품은 640㎖다.


고물가로 인해 소비자들의 가격 민감도가 높아진 것도 최근 페트 소주 인기에 영향을 미쳤다. CU에서 판매 중인 페트 소주 640㎖의 가격은 3300원으로 100㎖당 516원인 반면 병 소주 360㎖의 매가는 1900원으로 100㎖당 528원이다.

30대 소비자 A씨는 "용량 대비 가격이 저렴하고 분리수거도 편한 페트 소주를 주로 구매한다"며 "병 소주는 무게가 있는 편이라 구매하기 꺼려진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