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S] "죽은 모낭도 살렸다"… 새로운 탈모 치료법 나오나
지용준 기자
1,477
공유하기
|
안드로겐성 탈모 등 다양한 탈모증상에 대한 새로운 치료길이 열릴 전망이다. 국내 연구팀이 미토콘드리아 내에 위치한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2)를 활성화해 휴지기 모낭을 성장기로 전환시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안드로겐성 탈모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탈모 유형 중 하나다. 호르몬, 유전적, 또는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모발이 가늘어지고 성장주기가 방해받아 발생하는 질환이다.
18일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동원 권오상 피부과 교수팀(이승희 박사)은 미토콘드리아 안에 있는 ALDH2의 활성화를 통해 세포내 에너지 대사와 ATP(Adenosine Triphosphate) 생산을 촉진해 모발의 성장주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저널 오브 어드벤스드 리서치' 최근호에 온라인으로 출간됐다.
ALDH2는 아세트-알데하이드를 해독해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중요한 효소로 작용하는데 미토콘드리아의 손상으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가 탈모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내에서 생명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드는 기관이다.
연구팀은 ALDH2의 모발 성장과 산화 스트레스 감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ALDH2 활성화제(Alda-1)를 활용한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모낭의 ALDH2 활성도는 주로 머리카락을 생성하는 모낭 상피 세포층에서 발현됐다. 휴지기에 발현이 미미하다가 성장기로 전환되면서 발현이 크게 증가해 모발 성장기 유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특히 ALDH2가 활성화되면 휴지기로 전환된 모낭을 성장기로 전환에 필요한 에너지 대사에 기여하는 ATP 생산을 증가시켰다. 동시에 과도한 활성산소를 감소시키며 독성 산화 알데하이드(MDA)를 제거해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했다.
이 같은 연구는 직접적인 사람의 모낭 배양 실험과 마우스 실험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ALDH2 활성화되면 머리카락의 길이 성장을 유의하게 촉진했고 휴지기의 모낭을 성장기로 가속화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표적인 탈모약으로 알려진 미녹시딜과 비교해 유사한 효과를 보였다.
이번 연구는 안드로겐성 탈모뿐 아니라 노화성 탈모 등 다양한 탈모증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혁신이라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탈모 치료 분야에서의 기존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되고 있다.
권 교수는 "이번 연구는 모발 성장 주기에서 성장기 단계 유도를 위한 새로운 치료 전략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탈모 치료 분야에서의 혁신적인 접근법을 모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더 나은 탈모 치료법의 개발과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지용준 기자
안녕하세요. 산업2부 제약바이오팀 지용준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