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휴학 사태 '고비'… "남들처럼 유급 택한다"
대학 "개강 연기·휴강" vs 교육부 "정상적 학사 운영"
휴학계 검토 마치면 '수업 거부' 국면으로 전환
박재이 기자
1,534
공유하기
|
정부 의대 증원에 반발해 의과대학 학생들이 집단 휴학 신청을 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주가 의대생들의 단체행동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26일 뉴스1에 따르면 이번 주 대학들이 휴학 요건 검토를 마치고 집단 휴학을 요건 부적합으로 판단해 휴학계를 반려하면 의대생들의 집단행동은 '유급' 위험이 있는 수업 거부 국면으로 전환돼 수업 복귀를 고민해볼 가능성이 있다.
지난 22일 오후 6시 기준 1만1481명이 휴학을 신청해 전국 의대생 61%가 동참했다. 집단 수업 거부가 공식적으로 확인된 곳은 11곳이다.
의대는 1~2주간 몰아서 한 과목 수업을 진행하기도 해 이 경우 며칠만 빠져도 바로 유급이 될 수 있다. 대학들은 개강을 연기하거나 '교수 개인 사정'을 이유로 휴강하는 등 조치를 하고 있지만 교육부가 '정상적 학사 운영'을 당부하고 '수업 거부 시 엄정 조치'를 여러 차례 언급한 만큼 수업을 계속 미룰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의대생 집단 휴학뿐만 아니라 집단 사직에 드렁간 전공의 사태도 확대되는 등 의료대란이 본격화하면서 대학들은 확실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의대 개강을 한 서울 A 사립대학 관계자는 "학생들의 단체 유급을 막기 위해 교수들이 휴강하고 있지만 학사를 정상 운영하라는 교육부의 방침도 있어 마냥 둘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서울 B 의과대학 재학생 손모씨는 "의대에서는 성적이 안 돼 유급되는 학생이 10%씩 나오기도 한다"며 "단독행동이 어려운 의대 분위기 상 모두 수업에 복귀하기로 정하지 않는 이상 혼자 복귀하느니 남들처럼 유급되는 걸 택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