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SKT가 그린 30년 뒤 미래… 'T.um'이 보여줬다
[인턴이 간다] '초고속 네트워크'로 미래 기술 이끌어
지선우 기자
1,554
공유하기
|
"2054년은 어떤 모습일까"
1994년 선경그룹은(SK그룹 전신) 한국이동통신 민영화에 참여하는 동시에 SK텔레콤(SKT)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당시 세계 최초 2세대(2G) 이동통신을 상용화한 SKT는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을 넘어 6세대 이동통신(6G) 상용화에 앞장서고 있다. 우리나라 정보통신(IT)기술 발전을 이끈 SKT는 현재도 30년 뒤 미래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지난 15일 머니S 인턴 기자단은 서울 중구 소재 SKT타워 1층에 위치한 미래기술체험관 티움(T.um)을 찾았다. 이곳은 ICT 미디어기술, VR 등 IT 최첨단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30년 뒤인 2054년을 배경으로 제작됐다. 2054년을 배경으로 만들어진 이유는 이곳에서 선보인 기술들이 실현 가능해지는데 30년이 걸린다고 예상하기 때문이다.
프로그램은 50여 분간 진행된다. 입구에 도착하자 두 로봇팔과 디스플레이가 기자단을 맞이해 공상과학 영화를 연상시켰다. 기자단은 게이트를 지나 우주관제센터로 이동하기 위해 '하이퍼루프' 탑승장에 도착했다. 루프에 오르자 티움 도슨트는 "(하이퍼루프는)서울에서 부산까지 15분 안에 이동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소개했다. 하이퍼루프는 진공상태 튜브에서 초고속으로 운행돼 차세대 이동수단으로 꼽힌다. 이 루프 시스템은 2013년 스페이스X 창업자 일론 머스크가 제안한 바 있다.
|
'초고속 네트워크' 활용해 우주 관측도… SKT 차세대 기술 둘러보다
|
하이퍼루프를 타고 우주관제센터에 도착하자 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관제센터 내 화면에는 지구와 충돌 예정인 소행성이 등장했다. 도슨트는 소행성이 지구 충돌 시 발생되는 피해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소행성 충돌을 관측할 수 있던 배경에는 '네트워크 망원경'이 있다. 네트워크 망원경은 초고속 실시간 네트워크 기반으로 천체를 관측하는 기술이다. SKT는 자체 개발한 지능형 영상분석 시스템 'T-View'를 통해 망원경 제작을 위한 기술 개발을 하고 있다. 이외에도 관제센터에는 다양한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기자단은 가상현실(VR) 부스에서 기술을 체험해봤다. 고글을 쓰자 눈앞에 외부 행성의 모습이 펼쳐졌다. 주변은 지구와 다른 새로운 공간이었다. 360도 원격영상 연결 기술도 적용돼 모든 방향으로 둘러봐도 각기 다른 공간이 나타났다. 가상현실 속에서 화산과 가까워지자 손잡이가 뜨거워지기도 했다. 촉감까지 재현되자 실제 행성에 온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
우주셔틀을 타고 다음 코스인 의무실로 이동했다. 유리통 안에 부상자 모형이 있고 인공지능(AI) 의사가 부상자를 진단하고 있었다. 이곳에서 기자단은 고글을 착용하고 부상자를 수술하는 체험을 했다. 3D로 환자 뼈를 보며 수술하자 정밀한 부위까지 치료할 수 있었다.
|
각국 정상도 찾았다… SKT "국내 IT 기술 선보이기 최적화된 공간"
|
프로그램은 수심 800m에 위치한 해저도시 하이랜드로 이동하며 종료됐다. 하이랜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기자단은 홀로그램 기술부터 스마트시티까지 SKT가 꿈꾸는 미래 기술 전반을 살펴볼 수 있었다. 하이랜드는 5G 네트워크로 도시 전체가 연결됐다. SKT는 티움을 통해 초고속 네트워크 기반 스마트시티를 만들겠다는 포부를 보였다.
2008년 개관한 티움은 대한민국을 방문한 외국인들에게 국내 IT기술을 알리는 공간으로 활약하고 있다. 180여개국 정부·기업 등 관계자들이 이곳을 방문했고 지난달 7일(현지시각) 별세한 세바스티안 피녜라 칠레 전 대통령도 티움을 찾았다. 방문 당시 그는 "ICT 기술이 지구와 인류에 기여하는 미래를 체험한 것 같다"며 놀라움을 표하기도 했다.
티움은 리뉴얼을 통해 IT 기술에 발맞춰 변화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프로그램은 2019년에 새롭게 만들어졌다"며 "SKT의 앞서가는 IT 기술을 외국인에게 선보이기 최적화된 공간"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