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분열' 의사도 '2000명' 정부도 혼란… 다시 꼬였다
의협 비대위, '합동 브리핑' 예고… 전공의 대표 "합의 없었다"
의협 회장 인수위 "당선인이 비대위원장 되도록 협조해달라"
정부, '의대 증원 1년 유예' 놓고 입장 번복… 의·정 모두 혼란
김서현 기자
4,208
공유하기
|
의과대학 증원을 둘러싼 갈등이 오는 10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에도 풀리기 어려울 전망이다. 정부가 의대 2000명 증원 조정 가능성을 내비쳤고 의료계 역시 단결해서 총선 이후 의료계 합동 브리핑을 예고하는 등 갈등 해결의 실마리가 마련되는 듯했다. 하지만 양측 모두 다시 혼란을 겪고 있는 모습이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 7일 언론 인터뷰를 통해 "정부는 (의대 증원 2000명이라는) 숫자에 매몰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분명하게 견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의협 비상대책위원회도 회의 직후 브리핑을 갖고 총선 이후 의협 비대위를 중심으로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전국의대교수협의회(전의교협),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가 함께하는 합동 기자회견을 열겠다고 예고했다.
의료계 내부에서는 아직 입장 차이가 남아있는 모습이다. 박단 대전협 비대위원장과 임현택 의협 차기 회장 당선인은 의협 중심으로 의료계가 뭉치는 데 이견을 보이고 있다.
박 위원장은 지난 8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합동 브리핑 진행 합의한 적 없다"고 밝혔다. 그는 김택우 의협 비대위원장, 김창수 전의교협 회장과 지속해서 소통하고 있지만 합동 브리핑은 합의된 바 없다는 입장이다.
박 위원장은 임 당선인이 자신에 대해 "그 사람(박 위원장)과 대화하고 싶지도 않다" "(박 위원장은) 내부의 적"이라고 발언한 것에 대해서 유감을 표했다. 이어 자신은 "언제든 대화 환영"이라며 "삼겹살에 소주나 한잔하시죠. 제가 사겠다"고 첨언했다.
임 당선인은 하루빨리 자신이 의협 비대위원장을 맡고 싶다는 의사를 내비치기도 했다. 제42대 대한의사협회 회장직 인수위원회는 지난 8일 의협 대의원회와 비대위에 "하루속히 임 당선인이 비대위원장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신속히 협조해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고 전했다. 임 당선인은 지난달 26일 제42대 의협 회장 선거를 통해 당선됐다. 그의 임기는 다음 달 1일부터 3년 동안이다.
정부 또한 '의대 증원 1년 유예' 검토 여부를 두고 입장을 번복하며 혼란을 가중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차관은 지난 8일 오전 브리핑에서 "의대 증원 1년 유예를 내부적으로 검토는 하겠다"면서도 "수용 여부에 대해서는 결론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날 오후 연 긴급 브리핑에선 "(의대 증원) 1년 유예에 대해 내부 검토된 바 없으며 향후 검토할 계획도 없다"고 말을 바꿨다.
이날 오전에 "검토하겠다"고 한 것은 어떤 의미였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결정을 바꾸려면 그에 합당한 수준의 과학적 근거들을 제시하고 통일된 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가 의대 2000명 증원 조정 가능성에 대해 여러 차례 언급하긴 했지만 의대 증원 행정절차 중단 등의 실질적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는 것도 사태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힘든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정부는 2000명이라는 숫자에 매몰되지 않겠다면서도 "의료계가 먼저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김성근 의협 비대위 언론홍보위원장은 지난 7일 브리핑에서 "정부의 진정성을 보여주기 위해 교육부 프로세스를 중단해 줄 것을 부탁드린다"면서 "정부에서 사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전향적인 자세를 보여달라"고 요청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서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