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군 정관읍민들이 지난 16일 부산시청 광장에서 부산시 규탄집회를 하고 있다./사진=김동기 기자
기장군 정관읍민들이 지난 16일 부산시청 광장에서 부산시 규탄집회를 하고 있다./사진=김동기 기자


부산시가 20년전 지역주민들에게 한 약속을 이행하지 않아 기장군 정관읍 지역사회가 시끄럽다. 분노한 지역주민들은 급기야 지난 16일 부산시청 광장에서 대규모 규탄 집회를 열었다.


사건의 발단은 20여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부산시가 기장군 정관읍에 추모공원을 조성하면서 지역주민들에게 9개 항목의 약속을 했다. △정관주민자치회관 건립 △상수원 보호구역내 하수차집관로 부설 △두명 월평 임곡마을 상수원보호구역과 그린밸트 해제 등이다. 이 가운데 8개 항목은 부산시가 이행했다.


그러나 상수원보호구역과 그린밸트 해제는 20년이 지난 지금까지 이행되지 않고 있다.

21일 부산시 등에 따르면 현재 부산 추모공원은 봉안당 8만9,468기, 벽식봉안당 1만6,997기, 봉안묘 1만 6,338기다. 이 가운데 일부는 정관읍 주민과 협의도 없이 부산시가 일방적으로 증설한 것이다. 2021~2022년에 봉안당내 안치단이 모두 6,191기가 증설됐다. 게다가 2023년 공사에 착공한 벽식봉안당 5,280기도 오는 6월 사용허가 공고가 예정돼 있다.


이런 봉안당도 내년에는 포화상태가 예상된다. 이에 부산시는 주민들과 협의도 없이 2만 7천기의 봉안당 증축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한 설계 예산은 2023년에 이미 반영됏다. 시는 연내 공사를 완료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정관읍발전협의회 추모공원 현안대책위원회(위원장 김기열)는 2023년 1월부터 주민동의 없는 일방적 증축은 절대 불가하다는 의사를 전달했으나 부산시는 어떤 반응도 보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승우 부산시의원은 이날 "부산시가 추모공원 건설 때 약속한 삼부마을 상수원보호구역·그린벨트 해제는 반드시 지켜야 한다"며 "정관읍 주민들의 동의없이 추모공원 확충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의원은 이어 "2012년 당시에도 수질 운운하며 주민 의견은 반영되지 않았다"며 "환경부의 핑계를 대면서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하지 않는다면 추모공원 증축에는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기장군의회도 주민 동의없는 추모공원 증축은 반대한다며 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난 14일 군수와 관계 공무원이 출석한 가운데 열린 제281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주민 동의 없는 정관읍 소재 부산 추모공원 증축 반대 건의안을 채택했다. 박우식 의장도 이날 집회에서 "지역 주민의 의견을 반드시 수렴해야 한다"며 "주민 동의 없는 추모공원 확충은 진행할 수 없다"고 규탄했다.

주민들의 요구사항인 상수원보호구역 해제에 대해 부산시 관계자는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는 현재 진행 중인 용역 결과가 내년 3월쯤 나오면 환경부와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수백명이 정관주민들은 '8만 신도시 정관주민들은 분노한다' '정관주민 우롱하는 부산시는 각성하라' '추모공원 증축 승인한 부산시장은 각성하라' '참을만큼 참았다. 더 이상은 못참는다' 등의 피켓을 들고 두 시간 동안 집회를 이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