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관광객 증가와 악천후, 고령화로 초유의 쌀 부족 사태를 겪고 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일본이 관광객 증가와 악천후, 고령화로 초유의 쌀 부족 사태를 겪고 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일본이 초유의 쌀 부족 사태를 겪고 있다.

지난 24일(현지시각) 미국 CNBC는 일본의 쌀 부족 현상을 보도했다. 기사에 따르면 최근 일본 대형마트는 백미가 부족해 1인당 한 봉지만 살 수 있도록 구매 제한을 걸기도 했다. 현재 일본의 쌀 재고 수준은 20년만에 최저 수준이다. 지난 3년간 쌀 수요가 생산량보다 많았다.


관광객의 급증이 쌀 부족 사태의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올 상반기에만 1780만명의 외국인 관광객이 일본을 방문했다. 지난 7월에는 330만명의 관광객이 몰려 관광 통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일본을 방문한 관광객은 초밥, 오니기리(일본의 주먹밥), 덮밥 등 쌀로 만든 요리를 선호한다.

라보뱅크에서 글로벌 식품·농업 분야를 다루는 수석 연구원은 일본 관광객 쌀 소비량이 2022년 7월~2023년 6월 1만9000톤에서 2023년 7월~2024년 6월 5만1000톤으로 2배 넘게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올 여름 태풍과 악천후가 이어진 것도 쌀 부족으로 이어졌다. 생산이 어려워져 쌀의 양도 줄었지만 소비자들이 최악의 상황을 걱정해 쌀을 비축해두던 일도 많았다.

일본 사회의 고령화도 쌀 부족의 원인으로 꼽았다. 고령화된 농부들은 계속해서 은퇴하지만 새로 유입되는 젊은 농부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CNBC는 일본의 폐쇄적인 정책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일본은 쌀 농가 보호를 이유로 수입쌀에 778%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또 수입 쌀은 대부분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돌아가지 않고 가공되거나 사료로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