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 감사에서 대형 연예기획사들의 위법 사항에 대한 처벌 수준과 제재 강도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거론됐다. 사진은 2024년 국정감사 첫날인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피감기관 관계자들이 업무를 시작한 모습. /사진=뉴시스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 감사에서 대형 연예기획사들의 위법 사항에 대한 처벌 수준과 제재 강도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거론됐다. 사진은 2024년 국정감사 첫날인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피감기관 관계자들이 업무를 시작한 모습. /사진=뉴시스


국정 감사에서 하이브 등 대형 연예기획사들의 위법 사항에 대한 처벌 수준과 제재 강도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7일 뉴스1에 따르면 이날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강유정 의원(더불어민주당)은 하이브에 받은 자료를 공개했다.


강 의원은 "하이브는 2021년부터 2024년 상반기까지 아이돌 굿즈 판매로만 1조2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며 "그런데 위법 사항에 대한 과태료는 300만원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이어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지난 8월 아이돌 굿즈를 판매하는 하이브, SM엔터테인먼트, YG엔터테인먼트, JYP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에 과태료 처분과 시정명령을 내렸다"며 "포장 개봉 시 반품 접수를 거부하고 교환과 환불 접수 시 개봉 영상을 필수로 요구하는 등 기만적 방법으로 소비자의 청약 철회를 제한한 이유"라고 설명했다.


강 의원은 "하이브 자회사인 위버스컴퍼니는 위법 사항을 자진 시정하겠다며 과태료를 감경받았는데 최종적으로 납부한 금액은 300만원에 불과했다"며 "이는 하이브가 굿즈 판매로 벌어들인 천문학적 매출액 대비 0.000025%에 불과한 돈"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 아이돌 굿즈 갑질이 개선되지 않는 이유는 천문학적 굿즈 수익에 비해 정부의 제재가 솜방망이 처벌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아이돌 굿즈 갑질이 더는 좌시할 수 없는 문제인 만큼 제재 방안에 대해 국정감사에서 철저히 따져 묻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감사에는 양민석 YG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 장철혁 SM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 최준원 위버스컴퍼니 대표 등이 증인으로 참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