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마약탐지견 10마리 중 1마리 '복제견'"
박정은 기자
공유하기
|
마약류 단속을 위해 활용하는 관세청 탐지견 10%가 복제견인 것으로 확인됐다.
17일 뉴스1에 따르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천하람 의원(비례대표)는 관세청으로부터 관세청 소속 마약탐지견 자료를 받았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관세청에서 활동 중인 마약 탐지견은 총 40마리이며 이 중 4마리가 복제견이다.
현재 관세청이 보유한 복제 탐지견은 모두 8세 전후로 임무에 투입되지 않고 민간분양을 앞두고 있다. 복제견 4마리 중 2마리는 2018년부터 인청공항 세관에서 활동했으며 다른 2마리도 2018년 김해공항 세관, 2019년 평택 세관에서 탐지견 임무를 시작했다.
마약 탐지견에 복제견이 투입된 것은 2012년부터다. 당시 농업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우수 특수목적견의 체세포를 복제해 검역 현장에 보급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그러나 이후 생명윤리 관련 논란이 제기돼 2017년 12월31일부터 해당 사업은 전면 중단됐다. 현재는 과거 보급된 복제견만 남아있으며 해당 복제견들은 이번에 민간분양을 기다리고 있다.
복제견은 일반견보다 여러 건강상의 문제를 가져 수명이 유독 짧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관세청은 2021년쯤 민간분양된 복제 탐지견에 대한 관리 현황 및 건강 점검을 진행한 바 있다. 또한 관세청은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분양된 3마리의 복제 탐지견에 대해서도 올해 중 건강 점검을 할 예정이다.
천 의원은 "마약탐지요원 1명과 마약 탐지견 1마리로 짜인 '탐지조'가 마약을 적발한 성과는 지난 5년간 전체 마약 적발건의 15%를 차지할 정도로 마약 탐지견의 활약은 대단하다"며 "우리 사회의 안전을 책임지다 은퇴한 마약 탐지견의 노고를 생각해 민간분양을 진행하는 관세청이 분양 희망자들의 자질과 자격을 꼼꼼히 따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복제견의 경우 현실적으로 건강상 우려가 있는 만큼 관세청이 분양 이후에도 관리를 이어 나가 주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박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