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수 시장, "김포 정체성 담은 '자광미' 복원 박차"
김포=김아영,
경기=김동우 기자
공유하기
|
김포시는 지역 정체성을 담은 자광미 복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자광미는 재배유래가 문헌기록에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벼 품종.
산림경제(1682, 홍만선), 농가월령가(1843, 고상안) 등 옛 문헌에 따르면 약300년전 중국 길림성에 갔던 사신들이 밥맛이 좋다는 볍씨를 가져와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당시의 통진현 밀다리에서 재배했다는 기록이 있다. 밀다리는 지금의 김포시 통진을 말하며, 지역 이름을 붙여 '밀다리쌀'로 불린 것으로 전해진다.
자광벼 복원에 직접 아이디어를 제공하며 김포농업의 새로운 활로에 대해 적극 나서온 김병수 시장은 17일 대곶면 약암리에 있는 농업기술센터 벼 예찰답을 찾아, 종자 복원용으로 재배한 '자광벼'를 손수 베고 탈곡하며 벼 베기에 참여한 시민과 함께 했다.
김포에서 처음 재배됐으나 현재는 맥이 끊겼으나 올해 첫 복원 농사로 종자용 조곡 약300㎏을 수확했다. 김포시는 이날 수확한 종자를 이용해 내년에는 종자용과 밥쌀용 공급을 위해 재배면적을 3,000㎡로 확대할 방침이다.
김 시장은 이날 "자광미 복원은 김포농업의 또 다른 가능성을 포괄하는 것으로 김포농업이 미래로 나아갈 수 있는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도 있다"며 "자광미를 베이스로 한 달라진 식생활에 발맞춘 다이어트 식품, 쌀빵 등 다양한 가공식품 및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모두 만족하는 관광상품으로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포=김아영
안녕하세요, 머니S 경기지역을 담당하고 있는 김아영 기자입니다.
-
경기=김동우 기자
머니s 경기인천지역을 담당하고 있는 김동우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