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낼 돈 없어요"… '납부 예외' 청년 3년째 15만명대
윤채현 기자
2024.10.22 | 17:01:28
공유하기
|
국민연금 가입 연령이 됐는데도 여력이 없어 '납부 예외자'가 된 청년이 최근 3년 동안 15만명 수준으로 나타났다.
22일 뉴시스에 따르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은 국민연금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근거해 지난해 말 27세 지역가입자 중 소득이 없어 보험료 납부 예외를 신청한 사람이 15만267명이다고 전했다.
국민연금법에 따르면 18세 이상~27세 미만 중 학생이거나 군 복무 등의 이유로 소득이 없는 이들은 가입자에서 제외된다. 이밖에 사업 중단, 실직 또는 휴직 등으로 소득이 없어 국민연금 보험료를 내지 못하는 경우 국민연금공단에 신청하면 인정된다.
27세 납부 예외자는 2018년 말 17만명에 육박했다가 14만명대로 줄었으나 2021년부터 3년째 15만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27세가 됐는데도 소득이 없어 납부를 못 한 이들이 매년 15만명에 달하는 셈이다.
국민연금 노령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최소 가입 기간 10년을 채워야 한다. 소득이 없어 보험료를 내지 못하면 그 기간만큼 가입 기간 산정에서 빠지기 때문에 연금 수령 시기가 늦어진다.
국회 입법조사처의 '자영업자의 국민연금 장기가입 유도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연금 가입자(2199만 7000명) 중 전체 납부 예외자(306만 4000명)는 13.9%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윤채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