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꺾였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스1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꺾였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스1


정부의 대출 규제 여파가 이어지며 서울아파트 매매·전세가격 상승세가 동반 주춤한 모습이다.

1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1월 둘째주(1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조사 결과 매매가격은 0.00% 보합, 전세가격은 0.04% 상승이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1%) 대비 보합 전환됐다. 수도권(0.05→ 0.03%) 및 서울(0.07→ 0.06%)은 상승폭 축소, 지방(-0.02→ -0.03%)은 하락폭이 확대됐다.

5대광역시(-0.03→ -0.04%)는 하락폭 확대, 세종(-0.08→ -0.04%)은 하락폭 축소, 8개도(-0.01→ -0.01%)는 하락폭이 유지됐다.


공표지역인 전국 178개 시·군·구 가운데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93→ 82개)은 감소, 보합 지역(8→11개) 및 하락 지역(77→ 85개)은 늘었다.

서울은 재건축 추진 단지 등 선호 단지에서는 상승거래 신고 등 수요가 꾸준하다. 반면 그 외 단지는 대출규제에 따른 매수심리 위축으로 거래가 정체되는 등 혼조세를 보이며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꺾였다.


각 시·도별로 살펴보면 경기(0.02%), 울산(0.01%), 충북(0.01%)은 상승, 인천(0.00%), 전북(0.00%), 전남(0.00%)은 보합헤다. 대구(-0.08%), 제주(-0.05%), 부산(-0.05%), 충남(-0.03%) 등은 떨어졌다.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4%)와 상승폭이 동일하다. 수도권(0.07→ 0.07%)은 상승폭 유지, 서울(0.06→ 0.05%)은 상승폭 축소, 지방(0.01→ 0.01%)은 상승폭이 유지됐다.

5대광역시(0.01→ 0.01%)와 8개도(0.01→ 0.01%)는 상승폭이 유지됐고 세종(0.04→ 0.01%)은 상승폭이 줄었다.

전국 178개 시·군·구 공표지역 가운데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22→ 120개)은 감소, 보합 지역(6→ 8개)은 증가, 하락 지역(50→ 50개)은 유지됐다.

서울은 선호단지의 임차수요가 꾸준해 전세가격 상승이 지속되는 모습이다. 다만 시중 대출금리 인상 영향과 일부 단지의 하락거래 발생 등으로 서울 전체 전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각 시·도별로는 인천(0.11%), 경기(0.07%), 광주(0.04%), 울산(0.04%), 충북(0.04%) 등은 상승했고 강원(0.00%)은 보합, 제주(-0.04%), 대구(-0.04%), 대전(-0.03%), 전남(-0.01%) 등은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