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2025년 글로벌 인공지능(AI) 컴퍼니로 도약하기 위해 대대적인 조직 개편과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 사진은 서울 중구 소재 SK텔레콤 본사 사옥. /사진=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이 2025년 글로벌 인공지능(AI) 컴퍼니로 도약하기 위해 대대적인 조직 개편과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 사진은 서울 중구 소재 SK텔레콤 본사 사옥. /사진=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이 2025년 글로벌 인공지능(AI) 컴퍼니로 도약하기 위해 대대적인 조직 개편과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 통신과 AI를 핵심 축으로 한 7대 사업부 체제로 재편하고 실행력을 강화해 본원적 경쟁력을 확보하며 가시적인 성과 창출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SK텔레콤은 5일 조직 개편과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유영상 SK텔레콤 CEO는 "2025년은 '통신'과 'AI'를 중심으로 전사 역량을 결집해 가시적 성과를 만들어내는 '실행의 해'로 만들겠다"며 "이번 개편은 통신과 AI 중심의 실행 체제로 조직을 재정비하고 사업과 현장 중심으로 역량을 집중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고 강조했다.


SK텔레콤은 통신과 AI를 중심으로 한 7대 사업부와 이를 지원하는 공유 인프라군과 스태프군으로 조직을 재구성했다. 7대 사업부를 필두로 궁극적으로는 통신과 AI의 융합을 추구한다는 계획이다. 산재된 기술 조직을 결집해 글로벌 AI 컴퍼니 도약을 위한 기술 경쟁력과 AT/DT 실행력을 강화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통신 사업에서는 ▲MNO사업부 ▲B 유선/미디어사업부 ▲엔터프라이즈사업부를 중심으로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한다. AI 사업은 ▲에이닷사업부 ▲GPAA(글로벌 퍼스널 AI 에이전트)사업부 ▲AIX사업부 ▲AI DC(데이터센터)사업부를 통해 실행력을 높여 실질적 성과 창출에 나선다.


B2B(기업의 거래) 사업은 ▲'엔터프라이즈사업부' ▲'AIX사업부' ▲'AI DC사업부'로 재편해 영역 별로 전문화하고 SKT-SKB-SK C&C의 시너지를 기반으로 사업 경쟁력을 극대화한다.

엔터프라이즈사업부는 ▲메시징 ▲광고/데이터 ▲PASS/인증 ▲페이먼트 등 B2B향 사업을 통합 수행하며 AIX사업부는 SKT-SK C&C 통합 역량을 활용해 ▲AI 업무혁신 ▲AI 인텔리전스 ▲AIX 클라우드 ▲AI 팩토리 등의 영역에서 그룹 내 의미 있는 AI 활용 사례를 만들고 글로벌과 국내 시장으로의 확장을 추진한다. AI DC사업부는 차세대 반도체와 친환경 에너지 등 그룹 솔루션 패키지와 경쟁력을 기반으로 AI 데이터센터, GPU 클라우드 서비스(GPUaaS) 사업을 수행할 예정이다.


SK AI R&D센터는 ▲AI 모델링 ▲비전 AI ▲디지털 트윈 ▲AI 팩토리 등 기술 개발을 통해 사업을 밀착 지원하며 그룹 차원의 AI R&D를 통합 관리할 예정이다. AT/DT센터는 SK텔레콤과 SK C&C의 역량을 결집해 전사 차원의 디지털과 AI 전환(AT/DT) 실행력을 강화한다.

조직 구조는 간소화해 전사 조직 단계를 기존보다 4단계로 축소했다. ▲사업부는 '본부' ▲스태프 조직은 '실' ▲R&D 조직은 '랩'으로 구분해 책임과 역할을 명확히 했다. CEO 직속으로 ▲SKMS실천실 ▲O/I추진실 ▲고객가치혁신실 ▲ESG추진실을 배치해 주요 과제의 추진력을 높였다.

SK텔레콤은 2025년 임원 인사를 통해 3명의 신규 임원을 선임했다. 신규 임원은 통신과 AI 기술 경쟁력 강화와 사업 실행력을 갖춘 젊은 인재들로 선발됐다.

SK텔레콤은 "통신 사업의 내실을 다지고 AI 사업의 가시적 성과를 통해 글로벌 AI 컴퍼니로의 도약을 가속화할 것"이라며 "지속적인 체질 개선과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