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기념사업? 제 책 읽는 것이 가장 본질적인 기념" [노벨상 현장]
한국기자들과 스톡홀름 현지 간담회…"복잡한 인간 삶 그대로 쓰고자 할 것"
"말하고 글 쓰고 듣는 것, 우리 희망의 증거"…'유니바켄' 평생 무료이용권
뉴스1 제공
공유하기
![]() |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이 11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스웨덴어판 출판사 ‘나투르 오크 쿨투르’에서 열린 한국 기자단과의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4.12.12/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
"제 책을 읽으시는 게 가장 본질적인 일 아닐까요? 그 외 바라는 것은 전혀 없어요."
(스톡홀름=뉴스1) 김일창 기자 =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54)는 11일(현지시간) 한국에서 기념사업 등을 추진하는 움직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한 작가는 이날 오후 현지출판사인 '나투르 & 쿨투르'(Natur & Kultur)에서 열린 한국기자 간담회에서 "저는 책 속에 모든 게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라서 만약에 기념사업을 하고 싶으시다면 책 속에서 뭔가를 찾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떤 의미를 어떤 공간에 만듦으로써 사람들에게 닿는 것은 굉장히 가시적인 방법"이라며 "중요한 건 제가 책 속에 다 써놨다"고 강조했다.
'어두운 역사와 폭력이 반복되는 것을 보며 느끼는 무력감은 어떻게 극복하는가'란 질문에는 "글을 쓰려면 최소한의 믿음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이 언어가 연결될 것이란 믿음이 없다면 한 줄도 쓰지 못할 것 같다"며 "글을 쓰기 시작한다는 거 자체가 아주 미약한 믿음이라도 믿음을 근거로 한다"고 했다.
한 작가는 "결국은 우리가 이렇게 말을 건네고, 글을 쓰고, 우리가 읽고 귀 기울여서 듣고 이런 과정 자체가 결국은 우리가 가진 희망을 증거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 |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이 11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스웨덴어판 출판사 ‘나투르 오크 쿨투르’에서 열린 한국 기자단과의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4.12.12/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
스톡홀름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일정으로는 스웨덴의 국민 작가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의 아파트를 방문한 일을 꼽았다. 린드그렌은 '말괄량이 삐삐', '사자왕 형제의 모험' 등을 쓴 작가이다.
한 작가는 "증손자가 개인사를 담아서 직접 설명해 줬다"며 "집 안의 모든 것들이 소박해서 이분이 '아주 단순하고 소박한 삶을 살았구나' 그런 모습을 느끼면서 감동받았다"고 말했다.
한 작가는 바쁜 일정 중 생긴 자유시간에 린드그렌 등의 작품으로 구성된 테마파크인 '유니바켄'(Junibacken)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뒤늦게 유니바켄 측에서 이 사실을 알고는 한 작가에게 평생 무료이용권을 선물했다고 한다.
한 작가는 '이번 노벨상이 앞으로 자신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는가'란 질문에 "강연문을 쓰면서 내가 '어디서 출발해서 지금 어디 있고 그래서 여기까지 왔구나' 하는 내 좌표를 알게 됐다"며 "제가 어디까지 왔는지 알았으니까 앞으로의 방향도 더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태까지 글을 썼기 때문에 앞으로 글을 쓰는 게 어려워질 이유는 없다고 생각한다"며 "인간의 삶은 복잡하기에 복잡한 것을 복잡한 대로 쓰고자 할 것"이라고 했다.
자신의 작품을 번역한 번역가들에게 감사의 인사도 잊지 않았다.
한 작가는 "연회에서 수상 소감을 밝힐 때 당초 원고에는 번역가에 대한 감사의 뜻을 넣었는데 분량을 대폭 줄이면서 빼게 됐다"며 "제가 알기로 28~29개의 언어로 제 작품이 번역됐고, 번역가만 50명 정도 계신 것으로 알고 있다. 제가 그분들을 다 알지는 못하지만 우리는 모든 문장 속에서 모든 세부에서 함께 있는 것이다. 감사하다"고 말했다.
![]() |
11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에 위치한 한강 작가의 스웨덴어판 출판사인 ‘나투르 오크 쿨투르’ 건물에 2024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의 현수막이 걸려 있다. 2024.12.11/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뉴스1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