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공항 여객기 추락사고에서 생존한 30대 남성 승무원이 지난 29일 중환자실에 입원했다. 사진은 지난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태국발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야간 수색 작업을 진행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무안공항 여객기 추락사고에서 생존한 30대 남성 승무원이 지난 29일 중환자실에 입원했다. 사진은 지난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태국발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야간 수색 작업을 진행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무안 공항 여객기 추락사고에서 생존한 30대 남성 승무원이 중환자실에 입원해 절대 안정을 취하고 있다. 현재 그는 의사소통이 가능한 상태다.


지난 29일 뉴스1에 따르면 주웅 이대서울병원 병원장은 이날 밤 9시 서울 강서구 이대서울병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생존자 이모씨(33·남) 상태에 대해 "경추부와 골절 부위 보호하고 운동범위를 제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씨는 이날 오전 사고 직후 인근 목포한국병원으로 후송돼 오후 4시14분쯤 서울 강서구 이대서울병원 응급실에 도착했고 오후 5시34분쯤 중환자실에 입원했다.


주 병원장은 "의사소통할 수 있고 사고에 대한 질문 안 드려서 기억상실증을 말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라고 전했다.

이어 "사고 당시에 대해 트라우마도 있고 회복에 도움 되지 않겠다는 판단하에 자세히 묻지 않았다"며 "'깨보니까 구조돼 있었다' 정도만 말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뇌진탕 진단을 위해서는 MRI를 촬영해야 하는데 경추와 흉추 외상으로 인해 우려되는 부분이 있어서 정밀 검사를 시행하지 못했다"며 "시기에 따라 추가적인 검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회복 기간에 대해선 "골절 치료와 완치는 여러 주가 걸리지만 입원 기간은 중환자실에서 최소 2주 정도 관찰해야 할 것"이라며 "환자 상태에 따라 회복 기간은 달라질 것 같다"고 말했다.

주 병원장은 이씨가 정부 측과도 소통하고 있냐는 질문에 "환자 상태에 대해서만 말씀드리는 자리라 그런 내용은 답하기 어렵다"고 일축했다.

전남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서 이날 오전 9시3분쯤 181명(승객 175명·승무원 6명)이 탑승한 방콕발 제주항공 2216편 여객기 추락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179명이 사망하고 2명만 생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