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mo톡]안전 챙긴 프리미엄 컴팩트 SUV, 뉴 디스커버리 스포츠
박찬규 기자
1,091
2024.12.30 | 14:41:53
공유하기
편집자주
'momo톡'은 MoneyS의 Mo, Mobility의 Mo에 토크(Talk)를 합친 단어입니다. 머니S 모빌리티팀의 특성을 살려 다양한 탈 것 관련 스토리를 연재하며 자동차 부품과 용품은 물론 항공 관련 정보도 제공하는 코너입니다.
|
컴팩트 패밀리 SUV 디스커버리 스포츠는 다목적성, 공간 활용성, 편안함, 최상의 온·오프로드 주행 성능을 자랑한다. 2022년 유로 NCAP(신차안전도평가) 충돌 테스트에서 최고 등급인 별 5개를 획득하기도 했다.
뉴 디스커버리 스포츠 2025년형은 더욱 안전하고 편안한 주행을 위해 클리어사이트 룸 미러(ClearSight Rear View Mirror)와 3D 서라운드 카메라가 전 트림에 기본 적용, P250 다이내믹 SE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기능이 새롭게 추가됐다.
차 후방에 추가 카메라를 장착해 룸 미러에 내장된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통해 후방 영상을 실시간으로 보여 주는 클리어사이트 룸 미러는 카메라를 통해 50도가량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운전자는 룸 미러 뷰와 카메라 뷰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어2열 승객이나 짐에 방해받지 않고도 후방 도로를 쉽게 확인하고 훨씬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
뉴 디스커버리 스포츠 P250 다이내믹 SE에 새롭게 추가된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윈드스크린에 주행 속도, 기어 위치, 내비게이션 안내, 교통 표지판 인식,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등 주요 정보를 표시해 운전자가 주행에 집중하도록 돕는다. 고해상도 풀컬러 그래픽을 적용해 밝은 직사광선에도 방해 받지 않으며, 운전자의 시야와 그래픽 간 거리는 2m로 운전자가 그래픽을 약 2.5도 내려보도록 설계, 운전자의 시선이 자연스럽게 주행 방향을 향하게 된다.
고급스럽고 간결한 디자인의 실내 공간은 높은 실용성과 다목적성이 특징이다. 모든 물리적 버튼을 11.4인치 커브드 터치 스크린에 통합해 센터 콘솔 디자인을 간결하게 다듬고, 무선 충전과 추가 수납을 위한 공간을 확보했다.
|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피비 프로(PIVI Pro)가 내장된 터치 스크린은 단 두 번의 터치로 전체 기능의 80%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자주 사용하는 기능은 터치 및 슬라이딩 컨트롤, 원 터치 숏컷 패널로 더욱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T맵 내비게이션이 기본 탑재됐으며 SOTA(Software-Over-The-Air) 기능을 통해 최신 소프트웨어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뉴 디스커버리 스포츠에는 2열과 트렁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및 리클라인 기능을 포함한 40:20:40 폴딩 시트를 적용했다.
2열은 대형 SUV 수준인 최대 968mm의 긴 레그룸과 984mm의 헤드룸 공간을 갖췄고 2열을 1열보다 약간 높게 구성한 '스타디움 시트'를 통해 2열 탑승자의 답답함을 덜었다.
2열 시트를 모두 접으면 최대 1794리터까지 늘어나는 여유로운 적재 공간과 최대 75kg의 동적 루프 하중 덕분에 큰 짐이나 스포츠 장비를 싣고도 편안한 여행을 떠날 수 있다.
|
뉴 디스커버리 스포츠는 최대 600mm의 도강 능력과 최대 2500kg의 견인력을 갖춰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전자동 지형 반응 시스템2(Terrain Response2)는 정교한 인텔리전트 시스템을 통해 노면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주행 모드를 설정해 준다. 이에 더해 전지형 프로그레스 컨트롤(All Terrain Progress Control, ATPC)이 파워트레인과 브레이크 시스템을 노면 상태에 맞게 제어해 마찰력이 낮은 노면에서도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탑재된 인제니움 가솔린 엔진은 최고출력 249마력(PS), 최대토크 37.2㎏·m의 성능을 내며 정지상태에서 100km/h까지 7.8초 만에 도달한다.
뉴 디스커버리 스포츠 2025년형은 총 두 개 트림으로 나뉘며, 5년 서비스 플랜 패키지가 포함된 판매 가격은 P250 S 7390만원, P250 다이내믹 SE 7780만원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박찬규 기자
자본시장과 기업을 취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