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5] 전시장 둘러본 유영상 SKT 대표 "올해 AI 한 단계 성숙해져"
"AI 파트너십 강화 위해 더 많은 기업 만날 것"
라스베이거스(미국)=이한듬 기자
공유하기
|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가 글로벌 최대 IT·가전박람회 'CES 2025'를 현장을 찾아 올해 인공지능(AI) 시장의 동향을 살폈다.
유 대표는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 센트럴홀에서 개막한 'CES 2025'에 마련된 SK 전시장을 찾았다.
SK는 올해 CES에서 '혁신적인 AI 기술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든다'를 주제로 SK하이닉스·SK텔레콤·SKC·SK엔무브 등 4개 관계사가 공동 전시관을 운영한다.
유 대표는 ▲AI DC(데이터센터) ▲AI 서비스 ▲AI 에코시스템 등으로 구성된 전시관을 꼼꼼히 살폈다. 특히 SK하이닉스가 개발한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 제품인 HBM3E 16단 샘플을 직접 만져보며 큰 관심을 드러냈다.
|
이후 삼성전자와 파나소닉 전시관을 차례로 살펴본 유 대표는 "어제 젠슨 황 엔비디아 CEO의 스피치도 듣고, 오늘 조금 본 바로는 작년보다는 이제 AI가 한 단계 더 성숙하지 않았나 생각한다"며 "이제 생활 속에서 또는 산업 속에서 좀 더 버티컬 AI가 성숙하는 유즈 케이스가 많이 생기는 모습을 올해 보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북미 시장에 출시 예정인 SKT의 AI 에이전트 '에스터'에 대해선 "여러 경쟁자들이 나오겠지만 AI가 기존에는 어시스턴트라는 콘셉트에서 이제는 에이전트라는 콘셉트로 가고 있고 그 다음에는 아바타라는 콘셉트까지 갈 것 같다"며 "현재 에이전트 정도에서 우리가 글로벌 무대에서 어떻게 할 수 있는지를 테스트해 보는 차원이라고 아직 좀 더 본격적으로 들어가 봐야 결과를 알 수 있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
국내 경쟁 통신사들이 잇따라 AI 경쟁력을 강화하는 상황에서 SKT만의 차별점에 대해선 "통신회사들이 AI에 관심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며 "데이터센터·B2B·B2C 등 모든 AI의 버티컬, 모든 AI 밸류체인에서 관심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저희는 좀 더 빨리 시작한 만큼 글로벌 파트너도 많고,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에 대해서 초기부터 생각을 하고 준비해왔다"며 "아시다시피 SK 하이닉스, SKC 등 SK 그룹사와 같이 AI 데이터 솔루션을 갖고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을 개척하는 점이 아마 다른 통신사들과의 차이점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이번 출장 기간 글로벌 파트너사와 AI 파트너십 강화 전략에 대해선 "뭐 좀 더 많은 기업들을 만날 생각"이라며 "구체적인 건 만나고 나서 말씀을 드리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라스베이거스(미국)=이한듬 기자
머니S 산업팀 기자입니다. 많은 제보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