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의회가 정부 소유 기기에서 중국 생성형 AI 앱 딥시크의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추진하는 가운데 중국이 "정치 공세"라며 반발했다./사진=로이터
미국 의회가 정부 소유 기기에서 중국 생성형 AI 앱 딥시크의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추진하는 가운데 중국이 "정치 공세"라며 반발했다./사진=로이터


미국 의회가 정부 소유 기기에서 중국 생성형 AI 앱 딥시크의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추진한다.

지난 6일(이하 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 하원 다린 라후드 공화당 의원(일리노이주)과 조시 고테이머 민주당 의원(뉴저지)은 정보 유출 보안 우려를 이유로 이 같은 법안을 발의할 계획이다.


고테이머 의원은 "적(중국)이 우리 정부로부터 정보를 얻지 못하도록 막기 위해 즉각 취해야 할 조치로 생각할 필요가 없는 일"이라고 밝혔다. 라후드 의원은 "어떤 상황에서도 중국 공산당 회사가 민감한 정부 또는 개인 데이터를 입수하는 것을 허용할 수 없다"고 전했다.

WSJ는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출시한 인공지능 앱이 현재 미국에서 가장 많이 다운로드되고 있지만 해당 앱에는 로그인 정보를 중국 이동통신사로 보낼 수 있는 코드가 숨겨져 있다는 업계의 분석을 전했다.


사이버 보안 전문업체 페루트시큐리티의 이반 차리니 최고경영자(CEO)는 "AI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딥시크의 코드를 해독한 결과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중국 국영 통신사 차이나모바일로 전송하는 코드가 숨겨져 있다"며 "중국 정부의 통제 아래 있는 서버들과 중국 내 회사로의 직접적 연결이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미국 ABC 방송은 "딥시크에 가입하거나 로그인하는 사용자는 자신도 모르게 중국 내 계정을 만들게 돼 신원과 사용한 검색어 등의 정보가 중국 정부 시스템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딥시크와 모회사인 중국 헤지펀드 하이플라이어, 차이나모바일 측이 이런 주장과 관련한 질의에 즉각적으로 응답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산 '저비용 고성능' AI로 알려진 딥시크는 지난달 무료로 출시한 'R1'이 챗GPT 제작사인 오픈 AI의 'o1'과 비슷한 성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글로벌 데이터 분석업체 센터타워에 따르면 딥시크 AI 앱은 출시 18일 만에 1600만회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국내에서도 출시 일주일 만에 121만명이 사용해 챗GPT(493만명)에 이어 생성형 AI 2위에 올랐다.

하지만 이용자 정보 유출 우려가 확산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려는 움직임이 나온다. 미국에서는 국방부와 항공우주국(NASA), 하원 의회 등의 직원들에게 딥시크 사용을 전격 금지했다. 호주와 일본에서도 정부 소유 기기의 딥시크 사용을 막았고 이탈리아 정부는 딥시크 다운로드 자체를 차단했다. 대만 정부도 공무원과 공립학교, 준관영 조직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딥시크를 차단하는 움직임에 대해 민간기업에 불법적 데이터 수집과 저장을 요구하지 않는다며 일방적인 정치 공세라고 반박했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은 경제·무역·과학기술 문제의 정치화에 일관되게 반대해 왔다"며 "중국 기업의 합법적 권익을 굳게 수호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