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사할린의 한 도서관장이 한국 외교관이 왜곡된 지구본을 선물했다며 이는 외교상 결례라고 지적했다. 사진은 크림반도가 우크라이나 영토로 표기된 지구본./사진=사할린 지역 텔레그램 체널 '나시 노글라키'
러시아 사할린의 한 도서관장이 한국 외교관이 왜곡된 지구본을 선물했다며 이는 외교상 결례라고 지적했다. 사진은 크림반도가 우크라이나 영토로 표기된 지구본./사진=사할린 지역 텔레그램 체널 '나시 노글라키'


러시아 사할린 한 도서관장이 "한국 외교관이 왜곡된 지구본을 선물했다"며 이는 외교상 결례라고 항의했다.

지난 10일(이하 현지시각) 타스 통신은 사할린 노글리키에 있는 블라디미르 미하일로비치 산기 중앙도서관이 최근 한국 외교관에게 받은 지구본을 반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올가 로즈노바 도서관장은 주블라디보스토크 대한민국 총영사관 유즈노사할린스크 출장소 박모 소장이 선물한 지구본이 문제 있다고 지적했다. 이 지구본에 크림반도와 도네츠크·루한스크·헤르손·자포리자 지역이 우크라이나 영토로 표시됐다는 것이다.

로즈노바 도서관장은 러시아법상 자국 영토인 지역이 우크라이나 영토로 표기된 지구본을 선물한 건 외교상 결례라고 지적했다. 그는 "외교관이라면 왜곡된 러시아 국경을 지도에 표시하는 일과 지방기관에 이런 지구본을 두는 것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이해하지 못할 리가 없다"며 "용납할 수 없다"고 했다. 이어 "법적 책임을 피하기 위해 해당 지구본을 한국 측에 돌려줄 수밖에 없으며 러시아 외무부에 주재국 법을 위반한 한국 외교관 행동에 대한 평가를 요청하겠다"고 했다.


러시아는 2014년 크림반도를 병합한 후 2022년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을 개시하며 도네츠크·루한스크·헤르손·자포리자 지역을 장악했다. 러시아는 이 지역들을 자국 영토로 간주하며 주민들을 대상으로 투표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와 미국, 유럽을 비롯한 다수 국가는 국제법과 우크라이나 주권·영토 보전에 위배된다며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한국도 2022년 도네츠크 등에 대한 러시아의 병합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