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방 조사 결과 지난달 아파트 분양 실적률이 42%로 예정 물량 절반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3일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서초·강남권 아파트 일대. /사진=뉴스1
직방 조사 결과 지난달 아파트 분양 실적률이 42%로 예정 물량 절반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3일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서초·강남권 아파트 일대. /사진=뉴스1


2월 아파트 분양 실적률이 42%로 절반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지난 1월 31일 조사한 2월 분양 예정 물량은 총 1만2676가구였으나 지난달 27일 이를 재조사한 결과 실제 분양이 이뤄진 단지는 총 5385가구(일반분양 3560가구)로 집계됐다. 공급 실적률은 42%다.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이 지속되며 수요자들의 청약 심리가 위축됐고 건설업체들도 이를 우려해 분양 일정을 더욱 신중하게 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전년 대비 공급 예정 물량이 감소한 상황에서 실적마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며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

3월 분양 예정 물량은 26개 단지, 총 2만4880가구(일반분양 1만8712가구)로 조사됐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1만8596가구, 지방 6284가구가 공급된다.


수도권의 경우 서울은 분양 예정 사업장이 없고 ▲경기 1만 4416가구 ▲인천 4180가구가 예정돼 있다. 지방에서는 ▲경남 2638가구 ▲부산 1667가구 ▲경북 999가구 ▲강원 508가구 ▲대구 472가구 순이다.

3월 분양 시장은 전통적으로 '봄 분양' 시즌임에도 최근 부동산 시장 분위기를 고려하면 실적이 기대만큼 나오지 않을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최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가 단행되며 대출 부담이 다소 완화됐지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될 것으로 분석한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금리 인하가 주택 수요 회복으로 즉각 연결되기보다 당분간 관망세가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며 "실수요자들은 청약통장을 신중하게 활용해 옥석 가리기에 나서면서 단지별 청약 성적의 양극화가 더욱 두드러질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