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 운동의 주의점과 운동방법이 주목된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사진=이미지투데이
노년기 운동의 주의점과 운동방법이 주목된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사진=이미지투데이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이 지났다. 봄기운이 서서히 퍼지는 요즘, 운동을 시작하기에 좋은 시기다. 긴 겨울 동안 활동이 줄어든 노년층에게 규칙적인 운동은 건강을 유지하고 독립적인 생활을 돕는 중요한 습관이 될 수 있어 가능한 한 빨리 시작하는 것이 좋다.


6일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에 따르면 운동은 모든 연령에서 심혈관질환 위험을 낮추고 주요 만성질환의 발생을 줄이며 기존 질환 관리에도 효과적이다. 우울증과 불안장애 등 정신적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도 도움이 된다.

개인의 운동 능력은 다양하고 처한 상황이 달라서 운동 방법에 차이가 생길 수 있다. 기본적으로 유산소 운동, 근력 운동, 유연성 운동, 균형 운동 등 4가지 범주를 포함해 자신에게 맞는 운동을 해야 한다. 낮은 강도부터 천천히 시작하는 원칙을 지키며 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운동 시 주의할 사항으로는 자기 신체 상태에 맞는 활동 선택, 활동량 점진적 확대, 준비운동과 정리운동, 낙상 예방, 적절한 운동 장비와 보호 장구 사용 등이 있다.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하다. 65세 이상 노인의 대부분은 하나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질병의 종류와 중증도가 다양하기 때문에 개인에게 적합한 운동을 선택해야 한다. 노인에게 흔한 고혈압, 골다공증, 관절염, 요통 등은 각각에 맞는 운동 방법을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혈압 환자는 유산소 운동이 혈압 감소에 도움을 주므로 규칙적으로 실천하는 것이 좋다. 골다공증 환자는 걷기, 등산 같은 체중 부하 운동과 아령 들기 등의 근력 강화 운동이 효과적이다. 관절염 환자는 유산소 운동과 저항성 운동뿐만 아니라 유연성 운동과 관절 가동 범위를 늘리는 운동을 매일 실천하는 것이 좋다. 요통 환자는 근력 운동과 스트레칭을 비롯해 걷기, 자전거 타기 같은 전신 운동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