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이 아시아나와의 통합을 앞두고 41년만에 달라진 태극마크 로고와 도장(리버리)를 선보였다. /사진=대한항공
대한항공이 아시아나와의 통합을 앞두고 41년만에 달라진 태극마크 로고와 도장(리버리)를 선보였다. /사진=대한항공


대한항공이 통합 대한항공의 시대를 맞아 41년만에 태극마크 로고를 변경했다. 대한항공은 기존 태극마크의 색을 단일화하고 선을 강조해 브랜드 정체성을 재해석하는 변화를 택했다. 달라진 대한항공의 태극마크에 대한 국내외 소비자들의 반응은 각양각색이다.


대한항공은 11일 서울 강서구 본사 격납고에서 대한항공의 새로운 CI와 항공기 도장을 공개하는 행사를 열었다. 이번 로고 변경에서 대한항공은 교체 대신 브랜드 정체성을 보다 현대적이고 글로벌하게 해석하려고 시도했다고 설명했다.

새로워진 대한항공 신규 CI는 기존 태극마크에서 레드 색상을 빼고 다크블루 컬러로 통일감을 줬다. 단일색상과 곡선을 활용해 역동적인 이미지와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를 강조했다.


시각적 전달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심벌과 'KOREAN AIR' 로고타입을 함께 표기하는 방식 ▲'KOREAN' 단어만 사용하는 간결한 방식 ▲심벌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방식 등 3가지 버전을 운영할 계획이다. 아메리칸항공, 스위스항공, 오스트리아항공, 타이항공 등 또 주요 글로벌 항공사들도 사용하는 트렌드를 따랐다는 것이 대한항공의 설명이다.
달라진 대한항공의 로고를 두고 국내외 소비자들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사진=대한항공
달라진 대한항공의 로고를 두고 국내외 소비자들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사진=대한항공


새 로고가 공개된 이후 국내외 항공 커뮤니티에서는 새 로고 디자인을 두고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국내 소비자와 해외 소비자들 반응이 엇갈린다. 국내는 로고에서 대한항공 레드 색상이 빠지며 오히려 태극마크의 정체성이 흐려졌다고 지적한다.

국내 소비자들은 대한항공 태극마크가 네덜란드 KLM, 독일 루프트한자와 같은 해외항공사들과 비슷해졌다고 아쉬워 했다. 대한항공은 외항사들의 비행기 디자인과의 차별화를 두기 위해 자체적으로 개발한 스카이블루색 페인트로 디자인 정체성을 지켰다는 입장이다.


해외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기존 대한항공 로고가 미국 '펩시콜라'와 유사했다는 점을 짚으며 오히려 대한항공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는 로고라고 칭찬한다. FlyerTalk 포럼 등에서는 대한항공을 다른 브랜드와 차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태극 로고보다 펩시콜라가 익숙한 서구권 국가들의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는데 유효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대한항공이 아시아나와의 통합을 고려해 아시아나의 기존 색과 이미지를 최대한 빼기 위한 로고 디자인이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통합을 강조하기 위해 기존에 두 항공사가 로고에 사용하던 색이 아닌 다른 색을 택했다는 것이다.

조원태 대한항공 회장은 "전 세계적인 미니멀리즘 트렌드를 따른 로고"라 강조하며 "해외 디자이너들과 협업하는 과정에서 태극마크를 빼라는 제안도 받았지만 한국의 대표 항공사로서 대한항공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태극마크를 유지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