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외환보유액에 비트코인을 편입하는 방안을 검토한적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진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뉴스1(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이 "외환보유액에 비트코인을 편입하는 방안을 검토한적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진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뉴스1(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이 외환보유액에 비트코인을 편입하는 방안을 검토한 적 없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차근규 조국혁신당 의원의 서면질의에 "비트코인의 외환보유액 편입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은이 비트코인 외환보유액 편입과 관련해 입장을 밝힌 건 처음이다.


비트코인에 대해 한국은행은 "가격 변동성이 매우 높다"며 "가상자산이 불안정해질 경우 비트코인을 현금화하는 과정에서 거래비용이 급격하게 확대될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트코인은 IMF(국제통화기금)의 외환보유액 산정 기준에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외환보유액은 필요할 때 즉각 활용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유동성과 시장성을 갖춰야 한다는 설명이다. 또 태환성이 있는 통화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신용등급이 적격 투자 등급 이상이어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체코와 브라질 등 일부 국가들은 비트코인의 외환보유액 편입에 긍정적인 의견을 보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면서도 "유럽중앙은행(ECB)과 스위스 중앙은행, 일본 정부 등도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은도 현재까지 비트코인의 외환보유액 편입에 대해 논의나 검토한 바가 없다"고 강조했다.

차 의원도 관련 논의에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차 의원은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하는 비트코인의 전략 자산 지정은 따로 비트코인을 매입하는 게 아니라 범죄수익 등으로 몰수된 비트코인을 비축하겠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도 같은 이유로 보유하고 있는 비트코인이 있다면 이를 활용할 방안을 검토해 볼 수는 있겠지만 외환보유고에 편입시키는 것은 현시점에서 부적절한 측면이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행정부가 비트코인을 전략 자산으로 비축하기로 결정하자 국내 정치권에서도 관련 논의가 나온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일(현지 시각) 비트코인을 전략 자산으로 비축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다만 민·형사 사건에서 압수된 비트코인에 한해 전략적으로 비축하는 내용으로 추가 매입은 시사하지 않았다.

더불어민주당 집권플랜본부는 지난 6일 세미나를 열고 비트코인의 외환보유고 편입과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 등 가상자산 관련 정책을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