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윤석열 대통령 파면이 확정되자 행정안전부 대통령기록관이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대통령기록물 이관 작업에 착수했다. 사진은 지난해 3월 3차 민주주의 정상회의 장관급 회의 개회식에 참석한 윤 전 대통령 모습.
4일 윤석열 대통령 파면이 확정되자 행정안전부 대통령기록관이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대통령기록물 이관 작업에 착수했다. 사진은 지난해 3월 3차 민주주의 정상회의 장관급 회의 개회식에 참석한 윤 전 대통령 모습.


행정안전부 대통령기록관이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대통령기록물 이관 작업에 착수했다.

4일 뉴스1에 따르면 행안부 대통령기록관이 대통령기록관 내 대통령기록관장을 단장으로 하는 이관추진단을 설치하고 대통령기록물 생산기관과 이관을 위한 실무협의에 들어갔다.


이관추진단은 ▲이관총괄반 ▲이관기록서비스반 ▲지정비밀이관반 ▲서고반 ▲행정지원반 등 총 5개 반 42명으로 편성됐다. 이번 대통령기록물 이관 대상 기관은 '대통령기록물법'에서 명시한 대통령보좌기관·권한대행·경호 기관·자문기관이다.

대통령기록관은 이날 탄핵 인용 즉시 각 대통령기록물 생산기관에 '제20대 대통령기록물 이관 협조 요청' 공문을 발송했다. 관련 법률에 따라 차기 대통령의 임기가 개시되기 전까지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관될 수 있도록 기록물을 정리하고 이관 준비 과정에서 대통령기록물이 무단으로 손상·은닉·멸실 또는 반출되는 위법 사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협조도 당부했다.


아울러 대통령기록관은 대통령기록물의 안전하고 신속한 이관을 위해 각 기록물 생산기관과 인력과 물품 등의 지원을 위한 세부적인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향후 생산기관 단위로 대통령기록물의 정리·분류 작업을 조속히 완료하고 대통령기록관으로 기록물을 이송하여 이관목록과 기록물을 검수한 다음 기록물을 서고에 입고해 이관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