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입 열자 '금값' 올랐다… 4일 만에 '안전자산' 위상 회복
이지운 기자
2,457
공유하기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유예 조치가 국제 금값을 끌어올렸다. 글로벌 증시 충격에 연일 하락세를 이어가던 금값은 4거래일 만에 반등하며 안전자산의 지위를 회복했다.
9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미 동부시각 오후 2시23분 기준 온스당 3059.76달러로 전 거래일 대비 2.6% 상승했다. 장중 한때는 3098달러까지 치솟았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거래된 6월 인도분 금 선물도 온스당 3079.4달러에 마감하며 전장보다 89.2달러(3.0%) 급등했다.
금값 반등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대해 90일간 상호관세 적용을 유예하겠다고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SNS를 통해 "중국에 대해서는 125%의 보복 관세를 유지하되, 다른 국가는 90일간 10%의 기본 관세만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조치는 국가별 상호관세 시행 13시간 만에 수정된 것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 방침으로 글로벌 증시가 출렁이면서 금 시장 역시 충격을 받았다. 유동성 부족에 내몰린 투자자들이 차익실현에 나서면서 지난 4거래일 동안 금값은 하락세를 지속해왔다. 하지만 이번 조치로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되며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금 시장으로 다시 유입된 것으로 풀이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금값의 추가 상승 가능성도 점치고 있다. 씨티그룹(Citi)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향후 3개월 내 금값이 온스당 32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며 목표가를 상향 조정했다. 씨티는 향후 중국과의 관세 갈등이 재차 심화될 경우 금에 대한 투자 수요가 더욱 확대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기술적 분석에서는 조정 가능성도 제기된다. 일부 전문가들은 금값이 온스당 2047~2221달러 구간에서 단기 조정을 받을 수 있다고 보고 있어 향후 금값의 변동성에도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지운 기자
머니S 증권팀 이지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