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미래 사회로 가는 길, 메가 샌드박스' 다큐멘터리에 출연해 규제 완화의 필요성 등을 강조했다. /사진=대한상의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미래 사회로 가는 길, 메가 샌드박스' 다큐멘터리에 출연해 규제 완화의 필요성 등을 강조했다. /사진=대한상의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 회장이 최근 한 다큐멘터리에 출연해 불필요한 규제를 줄이고 제조 AI(인공지능)를 위한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13일 대한상의에 따르면 최 회장은 전날 방송된 KBS 다큐멘터리 '미래 사회로 가는 길, 메가 샌드박스'에 출연해 ▲인재 육성·유치 ▲인프라(AI 산업 기반 조성) ▲파격적인 규제 완화 ▲인센티브 지원을 제시했다.

최 회장이 언급한 내용을 종합한 것이 대한상의의 '메가 샌드박스'다. 메가 샌드박스는 광역 시·도별로 미래산업·기술을 선정하고 국내·외 기업의 인재 유치를 위한 파격적 인센티브와 규제 개선을 종합한 개념이다.


광역 단위의 모빌리티 특화 지역을 선정해 무인운전·배달·순찰 등 자율주행 관련 모든 규제를 풀어주고, 시설 인프라와 정주 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최 회장은 "대학 교육이 취업까지 연계되는 교육-일자리 매칭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이어 "지역의 대학을 택하면 졸업 뒤 원하는 일자리까지 보장해 줄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프라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대한민국에 AI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진 지역이 한 곳이라도 있어야 한다"며 "그래야 해당 인프라를 바탕으로 어떤 산업에서도 AI 전환을 이끌 수 있다는 걸 보여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최 회장은 지난해 12월 전국상의 회장단 회의에서도 메가 샌드박스 개념을 공유한 바 있다. 당시 최 회장은 산업 생태계의 총체적 개혁을 위한 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다큐에서는 토요타 아키오 토요타그룹 회장이 최근 직접 제시한 '우븐시티'를 비롯해 해외 사례도 소개했다. 2000명이 거주할 수 있는 규모로 건설 중인 우븐시티에서는 토요타가 자율주행, AI를 포함한 각종 첨단기술을 실험하고 개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