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지난 1일부터 시행한 보조배터리, 전자담배의 기내 안전관리 체계 강화 표준안을 재검토한다. 사진은 인천국제공항 출국장에서 기내 보조배터리 반입 관련 내용이 안내되는 모습. /사진=뉴시스


국토교통부가 기내 보조배터리 보관 방식에 대해 다시 검토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보조배터리와 전자담배에 대한 기내 안전관리 기준을 강화하는 표준안에 대해 현재 진행 중인 홍보기간이 끝나는 오는 6월 이후 재검토에 들어간다고 5일 밝혔다.


앞서 지난 1월 김해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사건에 대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보조배터리 내부 합선을 화재 원인으로 지목했다. 정부는 3월부터 기내에 보조배터리나 전자담배를 가져올 때 비닐봉지나 보호 파우치에 담도록 하고 보안검색대에서 이를 제공하는 조치를 시행해왔다.

현장에선 비닐봉지가 실제 화재 예방에 효과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승객들이 검색대를 지나자마자 비닐을 버리는 사례가 많고, 포장 자체가 내부 합선을 차단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실효성이 낮다는 평가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대부분 외부 단락을 방지하는 구조로 설계돼 있어 별도의 포장이 필요 없다는 의견도 있었다. 화재의 핵심 원인이 되는 내부 합선은 비닐로 막을 수 없다는 점도 지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