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개입 의혹' 김건희 소환 D-1…건강·대선 변수에 출석 미지수
건강상 문제, 대선 기간 등 고려…대선 이후 일정 협의 가능성
추가 소환 통보에도 불응하면 체포영장 발부도 가능
뉴스1 제공
공유하기

(서울=뉴스1) 정재민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김건희 여사에게 오는 14일 소환을 통보한 가운데 김 여사 측은 출석 여부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다만 김 여사의 건강 상태, 대선 전 선거 영향 등을 이유로 김 여사가 출석할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1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공직선거법 및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를 받는 김 여사 측에 14일 오전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해 조사를 받으라는 출석요구서를 전달했다.
검찰은 지난 2월부터 김 여사 측에 대면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했지만 김 여사 측이 별다른 응답을 하지 않자 공식적인 출석 요구 절차에 돌입했다.
검찰은 윤 전 대통령 부부가 2022년 지방선거와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 지난해 국회의원 선거 공천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수사하고 있다.
김 여사는 2022년 대통령 선거 당시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로부터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제공받고 그 대가로 같은 해 6월 1일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이 경남 창원 의창에 공천받도록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김 여사는 보궐선거와 함께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포항시장과 평택시장 등 후보 공천에 개입하고, 지난해 총선에선 김상민 전 검사를 창원 의창에 출마시키려고 공천에 개입했다는 의혹도 있다.
검찰은 지난해 2월 18일부터 3월 1일까지 김 여사와 김 전 의원의 총 11회의 통화, 문자를 주고받은 것을 확인했다. 아울러 명 씨와 김 여사와의 텔레그램 연락 내용도 확보했다.
검찰은 지난달 김 전 검사와 명 씨, 김 전 의원을 잇달아 소환해 관련자들을 조사하고 수사 마무리 수순에 들어가면서 김 여사 소환만이 남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출석요구서를 받은 김 전 여사 측은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고 있지만 건강 상태가 좋지 않고 대선을 3주 앞두고 전직 대통령 부인을 조사하는 것은 정치적 중립에 어긋날 수 있어 출석 여부가 불투명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김 여사가 소환에 불응하면 추가 소환 통보를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통상 수사기관은 세 차례 정도 소환 통보에 불응할 경우 체포영장 청구 등 강제구인 절차를 진행한다. 다만 이 경우 2~3차 출석요구서 절차 등을 고려할 때 대선 전 대면 조사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이 밖에도 김 여사가 연루된 각종 의혹에 대한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서울남부지검은 지난달 30일 건진법사 전성배 씨(65)의 부정 청탁 의혹 관련 윤 전 대통령 부부의 서울 서초구 서초동 사저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해 김 여사의 휴대전화 등을 확보했다.
서울고검도 지난달 25일 김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에 대해 재수사하기로 결정한 뒤 과거 초기 수사에 참여했던 검사 등 평검사 2명을 충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뉴스1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