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 교복 만족도 높이고 학부모 부담 줄인다
경기=김동우,
남상인 기자
공유하기
![]() |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학생들의 교복 만족도를 높이고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학교 자율형 교복 운영 개선안'을 마련하여 도내 각 학교에 안내했다고 15일 밝혔다.
경기도교육청은 '경기도 학교 교복 지원 조례'에 따라 올해 중·고등학교 1학년 신입생에게 1인당 40만 원 상당의 교복, 생활복, 체육복 등 단체복을 현물로 지원하고 있다.
2014년 교복 학교주관구매 제도 도입과 2019년 무상 교복 시행 이후 교복 가격 안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으나, 학생, 학부모, 학교 현장에서는 교복 디자인, 착용 불편함 등 다양한 의견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에 도교육청은 지난 13일 북부청사에서 교육지원청 교복 업무 담당자협의회를 열고 현장 의견을 반영해 마련한'학교 자율형 교복 운영 개선안'을 공유하며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학교에 안내했다.
이번 개선안의 핵심은 기존 '학교주관구매를 통한 현물 지원 제도'의 틀을 유지하면서 학교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고, 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의 선택권을 확대하며 교복의 실용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도교육청은 ▲꾸러미 자율 선택 ▲품목 자율 선택 ▲교복 미운영(자유 복장 착용)에 따른 교복 자율화 ▲교복 미운영(드레스 코드 통일)에 따른 교복 자율화 ▲비정장형 교복 위주의 품목 운영 등 '5가지 개선 모델'을 제시했다.
각 학교는 자율성을 바탕으로 학교 여건 및 교육공동체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개선 모델'을 적용하고 도교육청은 이에 필요한 행·재정적 지원을 통해 학교의 교복 운영 개선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도교육청은 향후 우수 개선사례를 발굴·공유함으로써 보다 유연하고 실용적인 교복 문화가 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엄신옥 도교육청 복지협력과장은 "의식주 가운데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의복인 만큼 학생들이 학교생활을 함에 있어 불편함이 없도록 교복 지원 정책을 세심히 살피겠다"고 말했다. 이어 "학생과 학부모, 학교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교복 지원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경기=김동우
머니s 경기인천지역을 담당하고 있는 김동우 기자입니다.
-
남상인 기자
머니S 경기취재본부 남상인 입니다. 경기도와 수원, 안양시 등 6개 지자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